조명래 환경장관 내정자 “흑산공항 당사자 모아 합의 도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조명래 환경부 장관 내정자는 5일 흑산 공항 문제에 대해 “당사자들이 모여서 합의 방식으로 답을 찾아가겠다”고 말했다.

5일 조명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세종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원장실에서 축하 전화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5일 조명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세종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원장실에서 축하 전화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조 내정자는 이날 중앙일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오늘 청와대로부터 장관에 내정됐다는 연락을 받았다”며 “환경부의 여러 가지 정책 현안이 많아서 그 매듭을 풀어줘야 하는데 제가 그런 것들을 얼마만큼 할 수 있을지가 부담된다”고 소감을 밝혔다.
그는 이어 “‘새 부대에 새 술’이라는 말처럼 새로 담으면 여러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11월부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 원장을 맡아 온 조 내정자는 단국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부 교수를 지낸 환경학자 출신이다. 한국공간환경학회 회장,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전문위원, 서울시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장, 한국환경회의 공동대표 등을 역임했다.

조 내정자는 내정 배경에 대해 “현 정부 들어서 추진하는 환경 정책의 성과가 미흡한 부분들이 있지 않았나”며 “미세먼지, 4대강 사업 등 여러 환경정책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효과가 나오도록 소통하면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논란 끝에 심의가 중단된 흑산 공항 설립 문제에 대해서는 “아직 내정자 신분이라 언급하기가 조심스럽다”면서도 “우선 현장부터 보면서 다시 인과구조를 보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할 수 있는 걸 분류하고, 당사자들이 모여서 합의 방식으로 답을 찾아가겠다”고 강조했다.

장관 경질, 총리실과 갈등 때문이란 소문 무성

흑산공항 사업대상지 현황 [중앙포토]

흑산공항 사업대상지 현황 [중앙포토]

흑산 공항 사업 내용 [중앙포토]

흑산 공항 사업 내용 [중앙포토]

흑산 공항은 다도해해상 국립공원의 흑산도에 소규모 공항을 짓는 사업이다. 흑산도 공항은 1833억원의 국비를 투입해 정원 50석 안팎의 항공기가 이착륙할 수 있는 1160m 길이의 활주로와 여객터미널 등을 건설해 관광 활성화와 주민 편의를 도모하려는 사업이다.
하지만, 흑산 공항을 승인할 국립공원위원회에서 다수를 차지하는 민간위원들이 반대를 하고 있어 사업을 추진하는 국토교통부의 요청으로 심의가 중단된 상태다.

흑산 공항은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기도 하고, 이낙연 국무총리가 전남도지사 시절 역점을 두어 추진했던 사업이기도 하다.
반면 '지속가능발전'을 트레이드 마크로 내세우는 김은경 환경부 장관은 흑산 공항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유지해왔다.

환경부는 지난해부터 총리실과 국토부 등과 갈등을 빚어 왔고, 지난 4월부터 장관 교체설이 불거진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는 얘기가 환경부 주변에서 끊이질 않았다.

하지만, 조 내정자 역시 개인적으로 개발주의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여온 만큼 어떤 방식으로 개발과 보전을 조화시킬 것인지 주목된다.
그는 환경단체인 ‘환경정의’의 공동 대표를 맡는 등 시민단체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 시민단체 활동가들과도 폭넓은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는 편이다.

그는 올해 1월 녹색사회연구소에서 주최한 좌담회에서 “한국에서는 토건 자본에 의한 개발주의가 여전히 작동한다”고 지적하고 “새 정부가 환경 정책을 우선하는 정책에 방점을 두려면 (중략) 환경 정책이 주무 부서들에서도 관찰되도록 국정을 관장·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조 내정자는 또 지난 3월 KEI가 주관하는 ‘환경포럼’에서 직접 주제 발표에 나서 “한국사회의 녹색전환이 필요하다”며 “이는 녹색 배제의 개발국가에서 녹색 포용의 탈(脫)개발국가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이날 전화 통화에서도 자신을 “대표적으로 녹색 정부를 주장해 왔던 사람”이라고 말하면서 녹색 인프라 확대 정책을 펴겠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나라가 녹색 경쟁력을 확보하는 선진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국민소득이라던가 삶의 질 측면에서 전망이 없다고 보기 때문에 녹색 인프라 확대는 중장기적으로 꼭 풀어야 할 숙제”라고 말했다.

또, “미세먼지 문제도 전기차 충전 시설 등 풀 수 있는 인프라가 부족한 게 많다”며 “분야별로 녹색 인프라를 확대하는 처방을 하면 유기적으로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약력>

△ 2018년 1월 ~ 현재 환경연구기관장협의회 회장
△ 2017년 11월 ~ 현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원장
△ 2013~2015년 서울시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장
△ 2011~2017년 환경정의 공동대표
△ 2003~2008년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전문위원
△ 2001~2004년 한국공간환경학회 회장
△ 1985 ~       단국대 사회과학부 도시지역계획학 교수

천권필 기자,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feeli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