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론 편 민주당 “김&장 갈등 키워 힘 빼려 하나. 박근혜 정부 받아쓰기에 익숙”

중앙일보

입력

‘고용쇼크’로 정부의 경제정책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는 것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강하게 반박했다.

21일 열린 민주당 원내대책회의에서 홍영표 원내대표는 “소득주도성장에 대해 야당이 정치공세를 퍼붓고 있다”고 포문을 열었다. 그는 “고용 여건이 좋지 않은 원인을 오로지 소득주도성장 탓이라며 폐기하라고 주장하는 야당에게 묻고 싶다”며 “과거처럼 성장할수록 양극화 심화되고 경기 어려우면 토목경제나 아파트 공사를 통해서 경제 활성화시키는 이런 방식으로 대응할 수 없다”고 말했다.

 21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공정거래법 전면 개정 당정협의에서 민병두 국회 정무위원장,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 김태년 정책위의장,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등 참석자들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21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공정거래법 전면 개정 당정협의에서 민병두 국회 정무위원장,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 김태년 정책위의장,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등 참석자들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어 “2014년 7월에는 경기 살리겠다며 부동산 규제를 확 풀었다. 그 결과가 어땠나. 당시 일자리 개선 효과는 반짝 있었다. 연간 신규 취업자가 2014년 53만명에서 2016년 30만명으로 떨어졌다”고 박근혜 정부의 일자리 정책을 비판했다. 홍 원내대표는 “부동산 부양 대책은 임시직·일용직 일자리만 반짝 늘렸다. 오히려 2014년부터 3년간 가계부채만 300조원 넘게 급증했다”고도 했다.

홍 원내대표는 “고용문제는 경제의 구조적 요인에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 제조업 일자리 창출 능력이 약화되고 중소기업 고용 유지 여력도 약화했다. 전체 취업자 중 21%에 달하는 자영업자 많은 것도 개선해야 한다”며 “성장 잠재력을 높여서 어떻게 일자리 만들고 구조적 개선을 통해 경쟁력 강화할 것인지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태년 정책위의장은 이른바 ‘김&장 갈등’에 대한 해명을 했다. 김 의장은 “최근에 일부 언론과 야당에서 김동연 경제부총리와 장하성 정책실장이 방향을 두고 갈등이 있는 것처럼 말씀하시고 보도하고 있다”며 “지나친 해석이다”고 말했다.

이어 “당·정·청은 공정경제와 소득주도성장, 혁신성장 세 바퀴가 톱니처럼 맞물려 돌아가야 사람 중심 경제를 실현할 수 있다는 같은 입장을 갖고 있고, 이 기조에 한 치의 변화가 없다. 당·정·청의 삼각편대에서 각자 책임지는 역할이 조금씩 다를 뿐 경제정책 방향에서 이견은 없다”고 강조했다.

진선미 원내수석부대표는 “자꾸만 김동연과 장하성의 반목이 있는 것처럼 해서 정책의 힘을 빼고자 한 건지, 아니면 정말 박근혜 정부의 받아쓰기식 회의에 익숙해져 있는 것은 아닌가”라며 “우리가 토론하고 회의하는 이유는 고용 문제에 대한 다양한 의견 공유하고 논쟁하기 위한 거다. 당연한 회의 모습을 갈등 반목 조장하는 것처럼 보도하는 것보다 그 내용에 초점을 맞춰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반면 자유한국당은 이날도 소득주도성장 정책이 실패하고 거듭 주장했다. 김성태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일자리 예산 37조원을 퍼붓고도 고용과 투자는 반 토막 내는 문재인 정권의 '반 토막 경제'에 대해 야당으로서 비판과 견제에 충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들어보지도 못한 소득주도성장이 경제를 망치고 일자리를 다 없애고 있는데 서민들의 애환과 고충을 대통령은 더는 외면하지 말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윤재옥 원내수석부대표는 “고용 쇼크 사태는 정책 기조를 바꾸고 책임을 묻지 않으면 해결되지 않는다”며 “한국당은 결산 국회를 통해 엄청난 일자리 예산을 쏟아붓고도 고용 참사를 가져온 정부의 경제 무능함에 대해 집중적으로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김경희 기자 amato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