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시진핑 초청했나…9월 5일까지 외국인 단체관광 전격 중단

중앙일보

입력

북한, 중국여행사들에 단체관광 잠정 중지 통보 [INDPRK 화면 캡처=연합뉴스]

북한, 중국여행사들에 단체관광 잠정 중지 통보 [INDPRK 화면 캡처=연합뉴스]

북한이 외국인 단체관광을 전격 중단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0일 중국의 북한전문 여행사인 INDPRK에 따르면, 북한 여행사들이 오는 11일부터 내달 5일까지 어떠한 단체여행도 중단하겠다고 중국여행사들에 통지했다.

북측 통지문에는 ‘오는 11일부터 20여 일간 평양에 있는 모든 호텔에 보수작업을 해야 하므로 단체여행객을 받을 수 없다’고 되어 있다.

북한은 과거에도 자국 내 중요 행사가 있으면 다양한 명분을 들어 외국인 입국을 통제한 바 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북한이 정권수립 70주년인 9·9절을 앞두고 열병식을 거행하거나 시 주석 등 중국 고위급 인사가 방북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추정이 나오고 있다.

북측 통지문을 공개한 INDPRK는 평양마라톤대회의 중국 측 공식 파트너로 다양한 방식으로 북한 여행을 기획하는 중국 여행사로 알려졌다.

베이징 소식통은 “북한의 주요 외화벌이 수단인 외국인 관광이 최성수기인데 갑자기 입국을 통제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 인물의 방북 또는 자국 내 중요 행사 때문일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의 이번 외국인 여행 중단조치가 주목되는 건 시 주석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세 차례 회동을 계기로 중국인의 대북 단체여행이 늘었다는 점이다. 이달 초에는 매일 평양으로 가는 관광객이 2000여명에 달하고 있다.

베이징의 한 업계 관계자는 “매일 2000여명의 관광객이 북한을 찾는다는 건 폐쇄 국가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인원”이라며 “북한 여행업계가 돈을 끌어모으고 있는데 갑자기 북한 호텔 보수작업을 하겠다며 장사를 중단한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북한 관광 업계는 “북한이 외국인의 자국 내 관광을 원하지 않을 경우 가장 많이 쓰는 명분이 관광지 보수작업”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중국의 한 전문가는 “대북제재가 지속하는 상황에서 외국인 관광을 중단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은 아닌 것처럼 보일 수 있다”며 “그러나 북한이 매스게임(집단체조) 등 다양한 볼거리를 마련해 대규모 관광객을 유치하려고 계획 중인 상황에서 숙박시설 정비 등을 이유로 외국인 단체관광을 중단했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지영 기자 lee.jiyo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