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해기금 장세동씨가 관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국회 5공 비리 조사특위는 3일 오전부터 4일 오전까지 철야로 21시간여에 걸쳐 계속된 일해재단 관계자 11명의 증인에 대한 청문회에서 ▲일해재단 기금의 모금·관리에 장세동 전 청와대 경호실장이 직접 관여했고 ▲모금과정에 일부 강압성 흔적도 있었으며 전두환 전대통령이 퇴임 후 일해재단을 사용할 의도가 있었고 ▲영수증 부본철이 변조됐을 가능성이 높은 점등을 밝혀냈다. <관계기사 3, 4, 5면>
이날 청문회는 당초 예정했던 3일 자정까지 11명의 증인신문을 다 마치지 못해 회의를 다시 연장해가며 밤새 증인신문을 강행해 4일 오전 7시50분까지 증인신문을 벌였다.
3일 밤 증인신문에서 보안사 현역대령으로 재단창립에 참여해 1차로 29개 업체로부터 1백37억원 모금 때 실무작업을 한 조성희씨(초대 총무부장)는 『모든 것은 장세동씨의 지시에 따랐으며 모금액은 매일 입금 즉시 통장을 장씨에게 건네줬다』고 진술했다.
조씨는 1백37억원에 대한영수증은 모두 자신이 발급했다고 진술했으나 영수증 부본철 필적을 직접 확인한 결과 상당부분은 다른 사람의 필적인 것으로 밝혀져 영수증 부본철이 위조됐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야당 측은 이와 관련, 모금액의 규모를 줄이는 등 은폐하기 위해 위조했을 개연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조씨는 모금과정에서 강요성이 있는가 라는 질문에『자진 호응해서 낸 사람도 있으나 강요에 의해 낸 경우도 있는 것으로 느꼈다. 최소한 모금액 할당에 불만족했거나 협조가 덜된 것이 아닌가 생각됐다』고 말해 이를 간접 시인했다.
김기환 소장은 『설립자인 전전대통령이 퇴임 후 연구소 일을 보겠다고 했던 것은 사실』이라면서 제2영빈관 등을 공개하지 않고 사용하지 않은데 대해 『묵시적으로 설립자가 맨 처음 사용하도록 하자는 취지였다』고 말해 이 시설을 전전대통령이 어떤 목적에서건 퇴임 후 사용하려했음을 시사했다.
김 소장은『부임당시 재정이 2원적으로 운용돼 지출만 이사장인 내가 처리했을 뿐 기금 수입 등은 김인배 사무처장이 독자적으로 관리했다』고 말했다.
김인배 사무처장은 『3백8억원에 대해 임소혁 고문공인회계사가 별도 관리 처리한 이유는 기부금 수입 부분에 대한 보안유지 방침이 변경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면서 『업무를 인수했을 때 장세동 실장이 기부금에 대해 보안 유지토록 지시를 내렸다』고 밝혔다.
김 처장은 『조성희씨가 받은 1백37억원과 익명기부금을 뺀 나머지 기부금을 내가 받았다』고 말하고 『86년 12월 익명 15억원 기부금을 받아 이를 한양투자·고려투자금융에 넣고 7월에 인출했다』고 말해 일부 횡령 사실을 시인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