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신혼희망타운 2만5000호, 어디에 생길까?

중앙일보

입력

정부와 서울시가 3일 부동산 시장관리협의체 회의를 열고 서울 지역에 신혼희망타운 2만5000가구를 공급한다는 방안에 합의했다. 사진은 지난달 17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국토교통 정책 협약식’에서 만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왼쪽)과 박원순 서울시장. [연합뉴스]

정부와 서울시가 3일 부동산 시장관리협의체 회의를 열고 서울 지역에 신혼희망타운 2만5000가구를 공급한다는 방안에 합의했다. 사진은 지난달 17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국토교통 정책 협약식’에서 만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왼쪽)과 박원순 서울시장. [연합뉴스]

정부와 서울시가 서울 시내에 신혼희망타운 2만5000호를 공급한다는 방안에 합의했다. 그러나 용지ㆍ공급 방법 등 구체적 방안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리고 있어 합의 사항이 유지될지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국토부와 서울시는 3일 부동산 시장관리협의체 첫 회의를 열고 서울 시내에 신혼희망타운 2만5000호를 공급하기로 밝혔다.

서울시는 신혼희망타운 10만 가구 중 2만5000가구를 서울 시내에 공급하기 위해 도심 역세권과 유휴부지, 보존가치가 낮은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단계적으로 입지를 확정하기로 했다. 하지만 서울시는 “가능한 부지를 탈탈 털어 찾고 있다”면서도 그린벨트 해제를 통한 부지 확보는 적절치 않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앞서 정부는 2022년까지 전국에 신혼희망타운 10만호를 공급하기로 하고 수도권에 전체의 70%를 배정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하지만 신혼희망타운 대부분의 입지가 수도권 외곽과 지방이라 서울에 직장을 둔 신혼부부 입장에선 별 매력이 없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토부는 서울 시내 입지를 확보하는 게 큰 숙제였다. 국토부는 서울시가 그린벨트를 일부 해제해 줄 건을 바랐다. 하지만 서울시는 미래 세대를 위해 그린벨트는 남겨둬야 한다는 입장이 강했다.

3일 오전 서울 시청에서 열린 서민주거복지 강화를 위한 ‘서울시 주택공급 확대방안’ 및 ‘주택시장 안정’을 협력하기 위한 국토부-서울시 정책협의체 첫 회의에서 손병석 국토교통부 1차관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3일 오전 서울 시청에서 열린 서민주거복지 강화를 위한 ‘서울시 주택공급 확대방안’ 및 ‘주택시장 안정’을 협력하기 위한 국토부-서울시 정책협의체 첫 회의에서 손병석 국토교통부 1차관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토부-서울시의 부동산 시장관리협의체 결과를 설명하는 보도자료에는 두 기관이 역세권, 유휴부지, 보존가치가 낮은 그린벨트 등의 부지를 발굴하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명시됐다. 그러나 서울시는 당초 기조대로 그린벨트를 제외한 유휴지와 역세권 위주로 부지를 집중 물색할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 관계자는 “도심 역세권과 유휴용지, 개발제한구역 해제 등 가능한 수단은 모두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지만, 서울시 관계자는 “역세권 유휴용지를 우선 생각하고, 개발제한구역은 최후의 보루로 남길 생각”이라며 “그린벨트 해제에 대해선 생각할 단계가 아직 아니다”고 입장을 달리했다.

박원순 서울시장 역시 “그린벨트는 시민의 삶에 굉장히 중요한 존재”라며 “그린벨트를 해제하지 않아도 다른 공공용지, 주택 매입 방식으로 부지를 확보할 수 있다”고 밝혀왔다. 박 시장은 “공공주택 확대라는 서울시와 국토부의 목표는 결국 같다”며 “선정 방식은 서울시에 맡겨달라”는 입장이다. 신혼희망타운 부지 선정은 서울시가 부지를 찾아 제안한 뒤 국토부와 협의해 결정하는 형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