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 "한·일 해저터널 생기면 부산항은 망할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유시민 작가가 19일 제주도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43회 대한상의 제주포럼'에서 강연을 하고 있다. (대한상의 제공) 2018.7.19/뉴스1

유시민 작가가 19일 제주도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43회 대한상의 제주포럼'에서 강연을 하고 있다. (대한상의 제공) 2018.7.19/뉴스1

유시민 작가가 “한·일 해저터널이 생기면 부산항은 망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유 작가는 19일 제주신라호텔에서 열린 제43회 대한상공회의소 제주포럼 초청강연에서 “한반도 종단 철도와 유라시아 철도 등이 이뤄지면 대륙간 물류에 엄청난 변화가 온다”며 말문을 열었다.

이어 유 작가는 “에너지만 해도 러시아에서 천연가스를 육로로 들여오면 석탄 등 철광석 물류비용을 줄일 수 있고 미세먼지 등 공해문제까지 해소할 수 있다”고 했다.

다만 최근 재부각된 한·일 해저터널에는 부정적이었다. 그는 “일본까지 길을 연장하면 경제 지리학적 이점을 빼앗겨 부산항은 망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한일해저터널 구상도 [사진=위키백과]

한일해저터널 구상도 [사진=위키백과]

유 작가는 “북한에 체제변화가 생기는 만큼 북한의 내수용 생산품이나 중소기업 중심으로 진출해서는 전망이 없다”며 “세계를 무대로 뛸 수 있는 잠재적 기업이 전략적으로 투자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은 토지소유권을 국가가 아닌 당과 정부 고위급 인사에게 넘겨 해외 자본에 장기 임대하거나 합작형태로 경제를 발전시키려고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그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대해 “우리나라에서 큰 기업의 2·3세 경영자들 가운데 김정은 만한 사람이 있느냐”면서 “할아버지와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절대권력을 다르게 써서 바꾸려고 하지 않느냐. 그게 혁신”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과의 교류는 산림녹화 사업과 산업 등 두 측면에서 이뤄질 것으로 본다”며 “이 가운데 산림녹화는 지금처럼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진행되는 상황에서는 우리가 지원해도 큰 성과를 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개방하면 북측 경제개발구역에 우리 자본이 들어가야 한다. 그 좋은 것을 왜 다른 나라에 뺏기겠느냐”며 “기업인들이 당장 노동당 간부 등도 만나게 될 것이고, 산업 쪽에서 넓고 깊은 남북 간 커뮤니케이션(소통)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유 작가는 또 북한의 핵·미사일 포기 및 체제 전환을 놓고 낙관론과 비관론이 엇갈리는 데 대해 “북한은 체제 전환을 할 수밖에 없고,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동기가 뭔지는 잘 모르겠지만 젊어서 (체제 전환을) 하려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면서 “앞으로 30~40년간 절대권력을 누려야 하는데, 나라 안에서는 왕 노릇을 하지만 정상국가 수반의 혜택을 못 누린 채 산다고 생각하면 눈앞이 캄캄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청소년기에 유럽에서 살았던 경험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며 “핵을 끌어안은 채 가난하고 비참하게 사는 길과 핵을 버리고 좀 더 행복하게 사는 길 사이에서 고민해서 후자를 택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na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