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도 美제품에 25~40% 보복관세…건설·석유·철강 등에 부과

중앙일보

입력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미국의 수입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 방침과 관련해 러시아도 일부 미국산 제품에 대해 25~40%의 보복 관세를 도입했다.

6일(현지시간) 타스 통신에 따르면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총리가 이날 미국에서 수입되는 건설·도로 장비, 석유·가스 설비 등에 대해 보복 관세 부과를 지시하는 정부령에 서명했다고 러시아 경제개발부가 밝혔다.

막심 오레슈킨 경제개발부 장관은 “미국산 수입 상품에 대해 25~40%의 추가 혹은 인상된 관세를 부과하는 대응 조치가 적용된다”며 “(인상된 관세는) 유사제품이 러시아에서 생산되는 일부 미국산 제품들, 특히 건설·도로 장비, 석유·가스 설비, 철강 가공 및 광산 천공 도구, 광섬유 등에 부과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제개발부는 “미국의 교역 규제로 인한 러시아 손실액은 5억3700만 달러(한화 5998억원)로 추산되며 이는 러시아 공급업자들이 미국에 내야 하는 추가 관세 규모”라며 “이번 관세 조치로는 피해액 가운데 일부인 8760만 달러(한화 978억원) 정도만 보상받을 수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나머지 피해액을 보상받기 위한 추가 조치는 미국의 관세부과 조치 발효 3년 뒤인 2021년 3월 21일부터 도입되든지, 혹은 WTO가 미국의 조치가 부당하다는 판결을 내린 뒤 취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러시아 경제개발부는 앞서 지난달 말 미국의 수입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부과에 대한 대응으로 WTO 제소 절차에 착수했다고 밝힌 바 있다.

박광수 기자 park.kwa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