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TBC 토론회 무산…이재명 “나쁜 토론 안 돼” 남경필 “이 후보·여당 의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경기도지사 후보(왼쪽), 남경필 자유한국당 후보. [뉴스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경기도지사 후보(왼쪽), 남경필 자유한국당 후보. [뉴스1]

JTBC가 31일 다음 달로 예정됐던 경기지사 후보 토론회를 취소하자 초청 대상이었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남경필 자유한국당 후보 캠프는 모두 유감을 표하면서도 입장차를 보였다. JTBC는 이날 “불필요한 갈등과 오해를 양산하는 이번 토론회를 열지 않기로 했다”고 입장을 냈다.

이에 대해 이 후보 캠프 김남준 대변인은 “정책토론을 기대했는데 무산되어 아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방송토론이 네거티브와 허위사실이 난무하는 저질 공방으로 변질하지 않고 진정한 정책경쟁의 장이 되도록 하는 장치와 노력이 필요하다”며 “자기 일신의 욕심을 위한 나쁜 토론은 절대 바람직하지 않다. 자라나는 아이들이 모범으로 삼을 만한 좋은 토론을 위해 더욱 노력하고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남 후보 캠프 김우식 대변인도 논평을 내고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한 토론회 취소에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JTBC가 ‘다자토론 참여 여부를 묻는 말에 후보들이 대부분 부정적이었다’고 토론회 취소 이유를 설명했지만, 우리 캠프는 부정적 입장을 전달한 바 없다”며 “JTBC는 어떤 후보가 무슨 이유로 참여를 거부했는지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명확한 해명이 없으면 지난번 토론회에서 호된 검증에 시달렸던 이 후보와 여당을 의식한 결정이라는 의심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며 “이 후보 측이 타 후보의 참여 여부를 빌미로 토론을 회피한 것은 아닌지도 의심스럽다”고 덧붙였다.

앞서 JTBC는 다음 달 4일과 5일 각각 예정했던 경기지사 후보 토론회와 서울시장 후보 토론회를 취소했다.

JTBC는 여론조사에서 5% 지지율에 미치지 못하는 김영환 바른미래당 후보를 토론회 초청 대상에서 제외하는 바람에 바른미래당이 법원에 방송금지 가처분신청을 내는 등 논란을 빚은 끝에 토론 취소를 결정했다. 김 후보는 지난 30일 “자신이 토론회 초청 대상에서 배제된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JTBC를 항의 방문한 바 있다.

JTBC는 “우리는 5% 이상의 지지율을 얻는 후보자들 간의 토론이 모든 후보가 참석하는 토론만큼 중요하다고 판단했다”면서도 “바른미래당뿐만 아니라 정의당 후보 등 모든 후보가 참석하는 경기지사 후보 다자 토론을 기존에 참여하기로 했던 각 후보 캠프에 제안했으나 대답은 대부분 부정적이었다”고 밝혔다.

JTBC는 “평균 2%대 지지를 받는 후보가 참석한다면, 1% 지지를 받는 후보도 당연히 참석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원칙엔 일관성이 필요하기 때문”이라며 “하지만 바른미래당과 의사소통 결과, 이 두 가지 모두가 불가능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토론회를 기다리셨던 유권자 여러분께 양해를 구한다”고 사과했다.

JTBC 경기지사 및 서울시장 후보 토론회가 무산됐음을 알려드립니다.

JTBC는 6월 4일(월) 예정된 경기지사 후보 토론회와 5일(화) 서울시장 후보 토론회가 무산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지난 5월 16일, JTBC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자유한국당 남경필 후보가 참석하는 경기지사 후보 토론회와 더불어민주당 박원순 후보와 자유한국당 김문수 후보, 바른미래당 안철수 후보가 참여하는 서울시장 후보 토론회를 공지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이에 대해 경기지사 토론에 참여하지 못하게 된 바른미래당이 법원에 방송금지 가처분신청을 내는 등 이의를 제기했습니다. 참여 기준에 대한 문제제기가 있은 후였습니다. 저희는 이미 초청대상을 정했지만 지지율 낮은 후보에게도 기회가 주어져야한다는 의견에 따르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JTBC는 바른미래당 뿐 아니라 정의당 후보 등 모든 후보들이 참석하는 경기지사 후보 다자 토론을 기존에 참여하기로 했던 각 후보 캠프에 제안했습니다. 대답은 대부분 부정적이었습니다. 서울시장 후보토론의 경우 역시 각 진영에 물어본 결과, 일부 후보측에서 부정적인 입장을 밝혀왔습니다. 이에 JTBC는 불필요한 갈등과 오해를 양산하는 이번 토론회를 열지 않기로 했습니다.

채혜선 기자 chae.hyese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