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총리, ‘북미회담 재고려 가능성’ 北발언…“협상 과정이라 생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낙연 국무총리가 1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스1]

이낙연 국무총리가 1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스1]

이낙연 국무총리가 16일 ‘미국이 일방적인 핵 포기를 강요할 때 북미정상회담을 고려할 수 있다’는 김계관 북한 외무성 제1부상의 강경 발언과 관련해 “협상의 과정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16일 이 총리는 이날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성원 자유한국당 의원의 관련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 총리는 “(북한의 태도가) 초강경이라기보다는 원래 ‘체제가 보장되면 핵을 가질 필요가 있느냐’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발언이었는데 그 점에서 ‘안심이 덜 된다’는 표현이 아닐까”라고 추정했다.

그러면서 “오늘 북한의 발표는 ‘일방적으로 북한만의 핵 포기를 강요하면 곤란하지만, 북한이 원하는 체제보장 등 상응한 조치를 하면 얼마든지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 이 총리는 북한이 오늘(16일) 예정된 남북고위급회담을 일방적으로 취소한 것과 관련해서는 “(취소 이유로) 여러 가지 추측되는 것은 있지만, 공개적으로 말씀드릴 만큼 근거가 있는 것은 아니다”며 “종합적으로 저희가 보고 있고, 큰 흐름에서 (남북 대화에) 차질이 생기는 것까지는 아닌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한반도 평화 문제에) 관련된 국가 중에서 가장 큰 변화의 문턱에 서 있는 쪽은 북한”이라며 “그래서 훨씬 더 예민하고 생각할 게 많을 것이다. 체제 부담도 당연히 상상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추가경정예산안에 빠진 남북 삼림협력사업 예산을 심사 과정에 포함해야 한다’는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는 “남북 간 협력사업 가운데 규모가 큰 것은 대북제재 대상에 포함된 경우가 많다”며 “유엔제재가 아니면서 비교적 국민이 수용할 수 있는 것이 삼림협력”이라고 부연했다.

이어 “(남북 삼림 협력은) 과거 정부부터 해왔다”며 “추경까지 넣지 않더라도 (사업 추진이) 가능할지 조금 더 봐야겠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우선 황해도 사리원에 있는 양묘장의 상태를 점검해 씨앗을 뿌릴 수 있는지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광수 기자 park.kwa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