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판문점 선언에서 가장 많이 쓰인 단어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7일 판문점에서 개최된 남북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을 공동 발표했다. 두 정상이 "세계에 큰 선물" (문재인 대통령) "빙산의 일각"(김정은 국무위원장)이라고 평가한 이번 회담에서 나온 공식 공동선언문을 자세히 살펴봤다.

4.27 판문점 선언에 사용된 단어들. 단어의 크기가 클수록 많이 쓰였다는 의미다.

4.27 판문점 선언에 사용된 단어들. 단어의 크기가 클수록 많이 쓰였다는 의미다.

2018 판문점 공동선언문은 총 2696자(제목을 제외한 본문 기준, 공백 제외 시 2066자)다. '남북관계 개선' '군사적 긴장 상태 완화' '평화체제 구축'이라는 큰 틀 3개 조와 13개 세부 항목으로 구성됐다. 이번 합의문은 군사적 적대행위를 전면 중지키로 했다는 점에서, 이전 2차례 정상회담의 선언문보다 더 자세하고 세부적인 내용을 담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00년 김대중 전 대통령과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의 6.15 남북공동선언은 5개 조항 815자(공백 포함)였고, 2007년 노무현 전 대통령과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의 10.4 남북 공동 선언은 8개 조항 2701자(공백 포함)였다.

이번 선언문에서 가장 많이 등장한 단어는 '평화'다. 총 11번이 쓰였는데 6.15 공동선언 때는 2번, 10.4 선언 때는 6번 사용됐다.

두 번째로 많이 쓰인 단어는 ‘민족’으로 총 10번 등장했다. 선언문 첫 번째 조에서 볼 수 있듯 '민족 자주의 원칙'을 강하게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6.15 공동선언과 10.4 선언에서는 '민족'이 각각 2번과 10번 사용됐다.

세 번째로 많이 등장한 단어는 ‘한반도’ ‘적극’ ‘군사적’이라는 단어였다. 각각 7번씩 등장했다. 이는 한반도의 군사적 대결 구도를 바꿔 나가겠다는 적극적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세 단어는 6.15 공동선언에서는 사용되지 않았고, 10.4 선언에서는 각각 5회, 7회, 4회 쓰였다.

이번 선언문에서는 이어 ‘발전’이라는 단어가 6번, ‘협력’이라는 단어가 5번 쓰였다. ‘발전’과 ‘협력’은 6.15 공동선언에서도 두 번 나왔던 단어다. 10.4 선언에서는 '협력'이 17회, '발전'은 2회 쓰였다.

정원엽 기자 Jung.wonyeob@joongang.co.kr, 배여운 데이터분석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