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처 총동원 "위조지폐 해당 행위 … 단호 대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이에 앞서 청와대에서 예산처에 본지 기사의 내용에 대한 문의가 있었다고 한다. 이날 예산처가 배포한 해명 보도자료도 이례적으로 강한 어조였다. 제목부터 '중앙일보 재정규모 거짓보도 관련'이었다. 해명자료에서 기획예산처는 '다른 기준으로 작성한 통계를 비교→국민의 판단을 오도'라고 주장했다.

이날 오후 이창호 예산처 재정전략실장은 더욱 강한 톤의 글을 예산처 홈페이지에 올렸다. 그는 "국가 기본통계의 왜곡.조작 비교는 어떤 정치적 의도가 깔린 악의적 보도라고 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이번 기사에 대해서는 위조지폐에 해당하는 국가질서 교란행위라는 인식하에 법 규정이 허용하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 단호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예산처는 이날 내내 실무진끼리 회의를 하고 앞으로 어떻게 대응할지를 논의했다. 일부에서는 언론에 지나치게 민감하게 대응하는 게 아니냐는 의견도 있었다고 한다.

◆ 변 장관, 여러 차례 부적절 발언=변 장관은 이전에도 여러번 구설에 휘말렸다. 그는 황우석 교수의 논문 조작 사건과 관련한 정운찬 서울대 총장의 대국민 사과에 대해 간섭했다. 그는 1월 11일 기자간담회에서 "황 교수가 논문을 조작하고 국민에게 큰 슬픔을 준 것은 일차적으로 서울대의 책임 아니냐"며 "큰 비중이 있는 정식 교수가 잘못을 저질렀는데 총장이 국민에게 '다 같이 반성하자'며 훈육하는 식으로 사과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지난해 12월엔 국가채무 논쟁과 관련해 이명박 서울시장을 비판하기도 했다. 이 시장이 한 세미나의 축사에서 "정부 국가 로드맵을 추진하려면 900조원이 들어가며 참여정부가 끝날 때쯤에는 500조원의 빚이 남게 될 것"이라고 한 발언에 대한 반론이었다. 변 장관은 "특히 대권 후보들이 객관적인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채 '국가 채무가 많다'고 문제 삼는다면 대외 신인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김종윤.김원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