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완전 비핵화 표명, 미군 철수 조건 안 달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문재인 대통령은 19일 “북한은 주한미군 철수 등 미국이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을 제시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 언론사 대표단 오찬 #“남·북·미 비핵화 개념 차이 없어 #북, 안전보장·적대정책 종식 원해”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언론사 대표단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북한은) 오로지 북한에 대한 적대정책의 종식, 자신에 대한 안전보장을 말할 뿐이다. 그 점이 확인됐기 때문에 북·미 간에 회담을 하겠다고 하는 것으로 봐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이 주한미군과 관련해 북한이 제시한 구체적 입장을 공개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이어 “비핵화의 개념에서 (남·북·미가)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북한은 국제사회에 완전한 비핵화 의지를 표명하고 있고 우리에게 적극적 대화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미 간에도 회담의 성공을 위해 좋은 분위기를 만들려는 성의를 서로에게 보여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18일(현지시간)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정상회담이 세계적 성공을 거두도록 무엇이든 하겠다”며 “한반도 전체가 평화롭게 사는 날이 오길 바란다. 이는 그렇게 많은 일을 겪은 한국 국민에게 마땅한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방식으로 비핵화를 달성할 경우 북한에는 밝은 길이 있을 것”이라고도 했다.

 트럼프 “북한 비핵화 땐 밝은 길 … 북·미 회담 성공 위해 뭐든 할 것”

트럼프 대통령은 다만 북한에 대한 압박 메시지도 빼놓지 않았다. 그는 “북·미 정상회담이 성공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면 (이 회담에) 가지 않을 것이다. 결실이 없다면 회담장에서 나올 것”이라며 “북한 문제 및 공동 방위에 있어 전임 정부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겠다. 최대 압박 작전은 북한이 비핵화를 할 때까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문 대통령은 “과거에 많은 분들이 북한이 핵보유국 지위를 주장하며 핵확산을 금지하거나 동결하는 선에서 미국과 협상하려 할 것이고 미국도 그런 선에서 북한과 합의할 수 있다고 예측하는 분들도 있었다”며 “(하지만) 북한은 완전한 비핵화를,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를 근거로 “남북 정상회담이나 북·미 정상회담을 통해 비핵화가 될 경우 평화체제를 (구축)한다든지 북·미 관계를 정상화한다든지 또는 북한의 경제 발전을 위해 국제적으로 돕는 식의 큰 틀의 원론적 합의 부분은 크게 어려울 것 같지 않다”고 예상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남북정상회담준비위원회 6차 회의를 통해 문 대통령의 공식 수행원 6인을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공식 수행원은 임종석 대통령비서실장,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서훈 국가정보원장, 조명균 통일부 장관, 송영무 국방부 장관, 강경화 외교부 장관 등이다.

강태화·조진형 기자 thkang@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