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문 대통령 “3ㆍ1운동과 건국 100주년이 평화체제 구축의 출발선”/

중앙일보

입력

문재인 대통령 내외가 1일 오전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에서 열린 제99주년 3ㆍ1절 기념식 후 독립문까지 행진한 뒤 참석자들과 함께 만세를 부르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 내외가 1일 오전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에서 열린 제99주년 3ㆍ1절 기념식 후 독립문까지 행진한 뒤 참석자들과 함께 만세를 부르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취임 후 처음으로 맞은 3ㆍ1절에 분단 체제의 극복과 1919년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서울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에서 열린 제99주년 3ㆍ1절 기념사에서 “3ㆍ1운동과 대한민국 건국 100주년을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과 평화에 기반한 번영의 새로운 출발선으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앞으로 광복 100년으로 가는 동안 한반도 평화공동체와 경제공동체를 완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분단이 더 이상 우리의 평화와 번영에 장애가 되지 않게 해야 한다”고도 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15분가량의 연설에서 ‘북한’이라는 단어를 한 번도 쓰지 않았다. 평창 겨울올림픽을 계기로 이뤄진 남북 접촉 결과에 따른  ‘포스트 평창’ 구상을 밝히기보다는 남북 공동체 완성이라는 큰 그림을 제시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문 대통령은 앞으로 북핵 문제 등을 계속 얘기할 기회가 있는 만큼 3ㆍ1절엔 3ㆍ1절에 직결되는 메시지에 집중하자는 판단이었다”고 설명했다.

이런 취지에 따라 문 대통령이 이날 부각한 연도가 1919년과 1940년, 2045년이다. 문 대통령은 3ㆍ1 운동의 결과로 나온 1919년 상하이 임시정부 수립이 대한민국 건국 시점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문 대통령은 “3ㆍ1 운동으로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헌법은 ‘대한민국이 민주공화제이며, 나라의 주권이 국민에게 있다’고 명백하게 새겨 넣었다”며 “그것이 지금 대한민국 헌법 제1조가 됐다”고 말했다. “대한민국이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했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또 “임시정부는 우리에게 헌법 제1조뿐 아니라 대한민국이라는 국호와 태극기와 애국가라는 국가 상징을 물려줬다”며 “3ㆍ1 운동의 정신과 독립운동가들의 삶을 대한민국 역사의 주류로 세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재인대통령 내외가 1일 오전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에서 열린 제 99주년 3ㆍ1절 기념식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대통령 내외가 1일 오전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에서 열린 제 99주년 3ㆍ1절 기념식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 대통령은 “1940년에는 임시정부가 대한민국 최초의 정규 군대인 광복군을 창설했다”며 “모두 대한민국 건국의 아버지들”이라고도 언급했다. 이는 임시정부의 광복군이 국군의 모태라는 취지로 풀이된다. 현재 ‘국군의 날’은 한국전쟁 당시 38선을 돌파했던 1950년 10월 1일을 기념하고 있는데 이를 광복군 창설일인 9월 17일로 변경해야 한다는 여권내 주장에 힘을 실어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광복 100년’(2045년)이라는 연도가 연설문에 등장한 데 대해 “문 대통령이 ‘광복 100주년’이라는 연도를 연설문에 포함시켰다”며 “내년 3ㆍ1운동 100주년이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로 가는 출발점이라면 2045년은 평화 체제의 완성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문재인 정부의 궁극적 목표는 분단 체제 극복을 위한 기반을 만드는 것임을 시간표로 보여주려 했다는 의미다.

이날 3ㆍ1절 기념식은 그간 열려왔던 세종문화회관이 아니라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에서 열렸다. 청와대는 “국민들과 함께 살아있는 기억으로 3ㆍ1절을 되새기기 위해서”라며 “문 대통령은 ‘박제화된 행사는 하지 말자’고 제안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기념사를 한 후 검은색 한복 두루마기 차림으로 태극기를 들고 ‘만세 행진’에 참여했다. 문 대통령 내외는 역사관에서 400m를 행진해 독립문에 도달한 뒤 시민들과 함께 “만세”를 세 차례 외쳤다.
문 대통령의 기념사를 놓고 여야는 상반된 반응을 내놨다. 더불어민주당 김현 대변인은 “3ㆍ1운동 정신을 기반으로 대한민국의 나아갈 방향을 일목요연하게 밝혔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자유한국당 정태옥 대변인은 “평화 공동체를 거론하면서도 한반도 비핵화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는 대북 저자세에 우려를 표한다”고 비판했다. 바른미래당 김철근 대변인도 “북핵과 미사일 도발 등 한반도 평화를 저해하는 근본 문제에 대한 어떠한 접근도 없었다”고 주장했다. 채병건ㆍ위문희 기자 mfemc@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