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中, 대북제재에도 아랑곳 않고 접경 지역에 무역특구 추진

중앙일보

입력

15일 중국 국경 도시 단둥에서 제4회 북·중 국제박람회와 자유무역구인 ‘호시(互市)’ 개설 기념식이 열렸다. 사진은 북한의 농산물·해산물·공예품·옷·신발 등을 체험해 볼 수 있는 전시관.

15일 중국 국경 도시 단둥에서 제4회 북·중 국제박람회와 자유무역구인 ‘호시(互市)’ 개설 기념식이 열렸다. 사진은 북한의 농산물·해산물·공예품·옷·신발 등을 체험해 볼 수 있는 전시관.

북한과 중국의 접경지역에 두 번째 무역특구인 호시무역구(互市貿易區) 건설사업이 추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호시무역구는 중국과 북한의 양쪽 변경민에게 상품교환 활동을 허용하는 지역으로 중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를 빠져나가는 기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9일 중국 지린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훈춘시 정부에 따르면 훈춘과 북한 함경북도 경원군 사이에 호시무역구 설립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 사업은 침체한 지역경제를 부흥시키기 위한 것으로 호시무역구에서는 훈춘과 북한 경원군 양쪽 주민들에게 상품교환 활동을 허용하고 하루 8000 위안(약 135만7000원) 이하 상품에 대한 관세를 면제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호시무역구 건설은 애초 북측이 먼저 제안하고, 훈춘시가 이를 검토해 추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훈춘시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진행 중인 점을 고려해무역구 건설에 직접 투자하는 대신 홍콩기업과 협력해 이 사업을 추진, 오는 6월쯤 건설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2015년 10월에도 북·중 접경인 랴오닝성 단둥에 양국 교역의 거점인 호시무역구가 처음으로 개장한 바 있다.

하지만 북한의 핵실험 도발에 따른 유엔 대북제재로 인해 북한업체 참여 없이 만 2년 4개월째 파행 운영됐다.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