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땅값 상승률 연남동 > 성수동 > 경리단길 > 가로수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올해 전국 땅값(표준지 공시지가)이 지난해보다 평균 6.02% 올랐다. 제주가 3년 연속 상승률 전국 1위를 차지했다. 땅값이 떨어진 시·군·구는 한 곳도 없었다.

올해 표준지 공시지가 발표 #전국 평균 6% 올라 10년 내 최대 #땅값 떨어진 시·군·구 한 곳도 없어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국토교통부는 올해 1월 1일 기준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를 12일 발표했다. 전년 대비 상승률은 2008년(9.64%) 이후 가장 컸다. 한정희 국토부 부동산평가과장은 “주택사업과 도로·철도 신설, 관광산업 활성화에 따른 토지 수요가 늘어난 결과”라고 말했다. 표준지 공시지가는 전국 3268만 필지를 대표하는 50만 필지를 뽑아 매긴 가격이다. 이에 따라 다른 토지의 개별공시지가가 결정되고, 이는 과세와 토지 보상의 기준이 된다.

시·도별로는 제주도(16.45%) 공시지가가 가장 많이 올랐다.

서귀포 신화역사공원과 제2공항 같은 개발사업 효과가 컸다. 부산(11.25%)이 뒤를 이었다. 센텀2지구 산업단지 조성, 아파트 재개발 사업 등이 땅값 상승을 이끌었다. 세종(9.34%)은 기반시설 확충과 제2경부고속도로에 대한 기대감이 영향을 미쳤다. 서울은 1년 새 평균 6.89% 올랐다. 일명 ‘연트럴파크’(경의선숲길)가 들어서 있는 마포구 연남동이 18.76% 뛰는 등 상권이 활성화된 곳의 땅값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성동구 성수동 카페거리(14.53%)와 용산구 이태원동 경리단길(14.09%), 강남구 신사동 가로수길(13.76%)도 10% 넘게 올랐다.

전국에서 가장 비싼 땅은 서울 중구 명동8길의 화장품 판매점인 네이처리퍼블릭 부지(169.3㎡)로, 2004년 이후 15년째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당 9130만원으로, 전년보다 530만원(6.16%) 올랐다. 이곳을 포함해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 상위 10곳이 모두 서울 명동에 몰려 있다.

황의영 기자 apex@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