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FT "한국, 美 우려 낮추려 김정은 초청에 조심스럽게 반응"

중앙일보

입력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11일 오후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열린 북한 삼지연 관현악단의 공연에 참석해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김여정 노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 등 북한대표단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11일 오후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열린 북한 삼지연 관현악단의 공연에 참석해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김여정 노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 등 북한대표단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문재인 대통령의 방북을 요청한 데 대한 한국 정부의 반응과 관련해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정상회담에는 ‘그에 맞는 여건'이 필요하다고 말하면서 남북 간 긴장 완화에 대한 미국의 우려를 누그러뜨리기 위해 조심성 있는 반응을 보였다"고 평했다.

김정은 친서 전달 후 이낙연 총리의 '여건' 발언 주목 #"그만한 여건 마련돼 남북 정상 만나시길 기대 # 좋은 여건 빨리 조성되도록 남북이 노력해야" #켈리 교수 "韓, 트럼프 덕분에 성공했다고 마케팅해야"

 FT는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의 친서 전달 이후 이낙연 국무총리가 지난 11일 서울 워커힐호텔에서 연 북한 고위급 대표단과의 오찬 발언에 주목했다. 이 총리는 “김정은 국무위원장께서 문 대통령의 방북을 요청했다"며 "그만한 여건이 마련돼 남북 정상이 만나시게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좋은 여건이 빨리 조성되도록 남북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겠다. 국제사회도 지원해 주길 바란다"고도 했다.

 FT는 문 대통령에게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만남이 최고의 야망 중 하나였지만 “미국과 북한의 대화 재개가 남북 관계 발전에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강조하는 등 조심스럽게 반응했다고 보도했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11일 오전 서울 광진구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북한 고위급대표단과의 오찬에서 김정은 북한노동당 위원장의 특사 자격으로 방남한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건배하고 있다. 왼쪽은 조명균 통일부 장관. [총리실 제공=연합뉴스]

이낙연 국무총리가 11일 오전 서울 광진구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북한 고위급대표단과의 오찬에서 김정은 북한노동당 위원장의 특사 자격으로 방남한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건배하고 있다. 왼쪽은 조명균 통일부 장관. [총리실 제공=연합뉴스]

 분석가들에게도 한국의 반응은 일치된 국제 제재를 통해 북한의 비핵화를 이끌어내려는 노력을 강하게 기울이고 있는 미국과의 관계를 개선하려는 세심한 움직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김두연 한반도 미래포럼 객원연구위원은 “문 대통령이 방북 초대에 긍정적으로 답했지만 정치적으로 알겠다는 것으로, 워싱턴을 염두에 둔 것은 분명하다”고 FT에 말했다.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은 유럽 방문 중 기자들과 만나 “한국에서 여러 일이 일어나는 중에 탄도미사일을 강조한 열병식을 진행했기 때문에 북한 정권이 무엇을 하려는지 말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며 “사실 김정은이 반복적으로 '미국의 꼭두각시'라고 공격해왔던 국가를 향해 온건하게 접근하려고 노력하는 것은 매우 이상하다"고 말했다.

 FT는 서울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기분 좋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고 봤다. 로버트 켈리 부산대 교수는 한국이 남북 정상회담의 혜택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설득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만약 한국 정부가 트럼프 덕분에 (남북 회담 등) 이런 일들이 성공한 것이라고 마케팅할 수 있다면, 트럼프 대통령은 함께 할 것"이라고 말했다.

 FT는 한미가 군사훈련을 재개할 예정인 3월 말에 중대한 시험에 들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더 지연하면 트럼프 대통령의 북한에 대한 최대 압박 작전을 약화할 것이고, 재개되면 김정은 위원장이 문 대통령에 대한 초청을 철회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FT는 문 대통령은 국내외적으로 비핵화에 대한 의미 있는 진전을 이끌어내라는 압력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북한은 서울과 워싱턴으로부터 금전적, 정치적 양보를 도출해내온 오랜 역사를 갖고 있지만 그것이 지속적인 변화로는 이어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런던=김성탁 특파원 sunt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