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제조업 가동률, 외환위기 이후 최저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해 국내 제조업 평균 가동률이 외환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2017년 연간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71.9%로 전년보다 0.7%포인트 하락했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67.6%) 이후 19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2017년 생산 관련 지표

2017년 생산 관련 지표

어운선 통계청 산업통향과장은 “반도체 업황이 좋았지만 해양플랜트 등 조선업 업황이 나빠 제조업 가동률이 떨어졌다”고 말했다.

생산, 소비, 투자 등 경제지표는 양호 #12월에도 생산, 투자는 증가...소비는 4% 감소

지난해 경제 관련 지표들은 전반적으로 양호했다. 전년과 비교해 전산업생산은 2.4%, 소매판매(소비)는 2.7%, 설비투자는 14.1% 증가했다.

 12월에도 전달보다 전산업생산은 0.2%, 설비투자는 8.9% 증가했다. 산업생산은 지난해 10월 1.8% 감소에서 11월 1.3% 증가로 돌아선 이후 두달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지난달 광공업 생산은 자동차, 기계장비 등이 줄어 전달보다 0.5% 감소했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도 전달보다 0.8%포인트 하락해 70.4%에 머물렀다. 2016년 8월(70.4%)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서비스업 생산은 전달보다 0.2% 증가했다. 숙박ㆍ음식점업 등에서 감소했지만 주가 상승

등 영향으로 금융ㆍ보험 등의 생산이 늘었다.

12월 산업활동동향

12월 산업활동동향

12월 소매판매는 4% 감소했다. 2011년 2월(-4.1%) 이후 6년 10개월 만에 감소폭이 가장 컸다. 어 과장은 지난달 소비 감소에 대해 “11월에 소비가 크게 증가한데 따른 기저효과가 있었고 승용차, 의복, 화장품 소비가 좋지 않았다”며 “그래도 소비 개선 흐름은 계속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세종= 박진석 기자 kaila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