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미연합사 본부, 국방부 영내 이전 … 용산공원 조성 탄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한국과 미국 정부가 용산기지 내 한미연합사령부 본부 이전 결정을 내리면서 답보상태였던 용산공원 조성 사업이 탄력을 받게 됐다.

2008년 공원 특별법 제정됐지만 #북핵 문제로 10년간 지지부진 #서울시 “시민 의견 수렴 계획 추진” #미 대사관 직원 숙소 등 아직 남아

미군 용산기지 이전 사업은 노무현 정부 때인 2003년 시작했다. 이후 2008년 용산공원 조성 특별법이 제정됐지만, 북핵 문제가 터지면서 지난 10년간 더디게 진행됐다.

서울시는 한미연합사령부 이전 결정과 관련, “용산공원 조성을 추진하는 정책 방향으로는 환영할 만한 일”이라며 “앞으로 부지 조성을 위해 시민 의견을 수렴하고 국토교통부와 국방부, 주한미군 등 관계기관과 협의를 통해 공원 조성 계획을 추진하겠다”고 5일 밝혔다.

빈센트 브룩스 한미연합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은 지난 4일 한 강연에서 “한미연합사 본부가 국방부 구역 안에 함께 있으면 한·미 동맹의 군사역량을 한 곳에 집중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국방부는 “한미연합사 본부의 국방부 부지 내 이전은 향후 용산공원 조성 사업의 보다 완전성 있는 추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입장을 발표했다.

한미연합사 본부가 용산기지 밖으로 이전하게 되면 용산공원 허리가 안정적으로 조성돼 사업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용산공원 부지 한가운데 자리 잡은 한미연합사 규모는 24만㎡로 주한 미군 주둔지역 243만㎡의 10%에 이른다.

앞서 한·미 양국은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4년 한미연례안보협의회의(SCM)에서 용산기지가 경기도 평택으로 완전히 이전하더라도 연합사 일부를 잔류시킨다는 데 합의했다. 하지만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공약으로 용산기지를 미국 뉴욕의 센트럴파크와 같은 생태공원으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우면서 연합사 잔류를 반대해 왔다.

문 대통령 선거캠프에서 용산공원 문제를 다뤄 왔던 조명래 단국대 도시지역계획학 교수는 “용산공원 조성 추진을 가로막는 불확실성이 제거됐다”며 “이번 정부에서 미군과 적극적으로 협상하면 대사관 직원 숙소 부지 문제 등도 해결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용산공원 조성에는 한미연합사 본부 외에도 약 25만㎡ 규모의 방호·출입시설과 미국 대사관 직원 숙소도 이전 문제가 걸려 있다. 용산기지가 이전하더라도 22만㎡ 크기의 한·미 간 연락부대 부지, 신축 미 대사관과 숙소, 헬기장은 용산공원 인근 부지에 잔류하는 것으로 확정됐다.

부지 잔류 문제가 확정되면 남은 주한미군 이전 일정 수립과 건물 실사 계획을 세우는 일이 남게 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공원 설립 계획을 세우려면 기지 내 건물 내부구조와 지하시설도 파악해야 하는데 군사기밀이라 접근이 어려웠다”며 “용산에 남아 있는 주한미군 평택 이전 계획이 완전히 수립돼야 공원 조성 사업도 진척될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 정부에서 각 부처가 나눠먹기식으로 발표한 공원 설립 계획도 수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4월 문화체육관광부와 여성가족부 등 중앙 부처가 용산공원 내에 ‘국립어린이아트센터’ ‘국립여성사박물관’ 등을 세우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가 비난을 받았다.

용산공원 용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서울시도 지난달 전쟁기념관 기획전시실에 용산공원 시민소통공간을 조성했다. 4월까지 이곳에서 ‘용산공원 토크콘서트’도 진행한다. 13일부터 매주 토요일 열리는 토크콘서트에는 박준범 상명대 특임교수의 ‘용산 문화유적 발굴’, 김천수 용산문화원 연구실장의 ‘용산 둔지미 마을’ 등 강연이 마련된다.

김천수 연구실장은 “용산공원은 서울 시민만의 사업이 아니다. 국가 공원으로서 더욱 다양한 의견 수렴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민상 기자 kim.mins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