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올해도 강세장 … 최저 2350서 최고 2900선까지 오를 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3면

지난해 주식시장은 ‘기록의 한 해’였다. 코스피 역대 최고 기록(2557.97)이 나왔고 연간 상승률(21.8%)은 8년 만에 최대였다. 이런 신기록이 터지기 전인 지난해 5월 증권사 리서치센터장과 자산운용사 대표 10명에게 그해 하반기 주식시장 전망을 물었다. 이 가운데 5명이 코스피가 2500선을 넘어서겠다고 예상했다. <중앙일보 2017년 5월 31일 E6면>

작년 증시 전망 맞춘 5인의 예측 #상반기에는 2500~2800 박스권 #IT·헬스케어주 여전히 주도 업종 #선진국들 금리 인상 속도가 변수 #유가상승 따른 물가 오름세 주목을

관련기사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이후 증시는 이들 5명의 예상 범위에서 움직였다. 지난해 증시 전망을 맞춘 이경수 메리츠종금증권 리서치센터장, 이승준 삼성액티브자산운용 본부장, 이창목 NH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 조용준 하나금융투자 리서치센터장, 최영권 하이자산운용 대표에게 다시 올해 주식시장 관측을 부탁했다. 지난해 증시는 낙관론자의 편이었다. 강세장을 점쳤던 5명 전문가는 올해 주식시장을 두고도 비슷한 전망을 내놨다. 최저 2350에서 최고 2900까지 오를 수 있다고 예상했다. 고점은 2800~2900사이다.

이승준 삼성액티브자산운용 본부장은 “세계 경기 확장 국면이 계속된다는 전제 아래 한국기업의 이익은 올해 150조원 수준으로 전망한다”며 “다른 지역 증시 대비 여전히 저평가 구간에 있다고 판단한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이경수 메리츠종금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올해 코스피의 적정 범위를 2850~2900로 제시한다”며 “상장기업의 주식 가치와 현 주가 수준을 고려한 수치”라고 말했다.

최영권 하이자산운용 대표는 “지난 연말 외국인은 원화 강세 때문에 매도에 나섰으며 기업 가치의 급격한 하락 때문은 아니다”라며 “올해 가장 큰 기대 요인은 기업 지배구조 개선, 배당 확대 등 국내 정책 변화를 통한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 문제) 해소”라고 말했다. 최 대표는 다만 “지난해처럼 지수가 급격히 상승하긴 어려울 것”이라며 “올 상반기 코스피는 2500~2800 박스권을 유지하면서 유망 종목별로 차별화된 성장을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지난해 주식시장을 견인한 건 반도체·정보기술(IT) 업종과 바이오·헬스케어주다. 조용준 하나금융투자 리서치센터장은 “지난해 연말부터 외국인의 순매수 강도가 뚜렷하게 약해지는 가운데 IT 관련주의 주가 수익률이 10월부터 부진한 모습이고 헬스케어는 높은 수익률과 변동성을 동시에 보인다”고 분석했다. 대신 조 센터장은 “주도주에 대한 신뢰가 흔들릴 수 있지만 올해도 IT와 헬스케어가 주도 업종이란 시각은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금리 인상의 혜택을 받는 금융주, 중국 영향을 많이 받는 소비주도 관심 대상이다. 이경수 센터장은 “IT와 함께 자동차·화장품 등이 추천 업종”이라고 말했다.

이런 낙관론을 위협하는 변수가 있다. 물가다. 이창목 NH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경기 회복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인플레이션)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는데 이에 따른 통화 정책의 불확실성 증가는 분명 증시에 부담이 된다”라며 “세계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채권 금리 동향에 주목해야 한다”고 짚었다.

국제 유가 상승에 따라 물가가 가파르게 오르고 자산시장에서 과열 조짐이 나타난다면 미국을 포함한 중앙은행에서 긴축(금리 추가 인상) 속도를 높일 수 있다. 현실이 되면 주식시장의 조정은 불가피하다. 이승준 본부장도 같은 이유로 선진국 금리 인상 속도를 가장 우려되는 대내·외 변수로 꼽았다.

지정학적 위험도 빼놓을 수 없다. 최영권 대표는 “미국·중국·러시아·북한 등의 돌발적인 지정학적 정책 변화도 유의해야 할 변수”라며 “중국의 경제성장률 둔화 가능성,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와 해외 자본 세제 감면, 한·미 금리 격차로 인한 투자 자금 이탈도 국내 증시에 충격을 줄 수 있는 요소”라고 예상했다.

조현숙·이승호 기자 newea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