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엔 44만 가구 입주 폭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청약 열기가 한껏 달아오른 가운데 내년 쏟아질 새 아파트 입주 물량이 변수로 떠올랐다.

물량 몰린 수도권 전셋값에 영향

26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내년 전국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총 43만9611가구로 조사됐다. 올해(38만3820가구)보다 14.5% 늘어난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주택 200만 가구 건설 계획에 따라 경기도 분당·일산·평촌 등 수도권 1기 신도시 입주가 시작된 1990년대 연간 입주 물량보다도 많은 역대 최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내년 어디서 아파트 입주 늘어날까

내년 어디서 아파트 입주 늘어날까

1991년 24만9000가구 수준이었던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1992년 40만4198가구로 급증했다. 94년(41만4469가구)과 95년(41만9430가구), 97년(43만2128가구)까지 4개 연도에 걸쳐 연간 입주물량이 40만 가구를 넘었다. 하지만 1기 신도시 입주를 마무리한 2000년대 들어선 연간 입주 물량이 40만 가구를 넘은 적이 없었다. 내년 입주 물량을 두고 ‘입주 폭탄’이란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입주가 집중된 곳은 경기도다. 올해(12만8842가구)보다 25.7% 증가한 16만1992가구가 입주한다. 서울은 내년 입주 물량이 3만4703가구로 올해(2만7048가구)보다 28.3% 늘어난다. 지방에선 평창 동계올림픽 수혜를 누리는 강원도가 올해 5959가구에서 내년에는 1만6674가구(2.7배)로 불어난다.

입주 물량이 단기간에 급격히 늘면 주택 시장 충격이 불가피하다. 1기 신도시 건설로 아파트 공급이 크게 늘면서 전국적으로 평균 32% 넘게 치솟았던 아파트값 상승세가 91~93년 약세로 돌아섰다. 특히 전셋값에 미치는 영향이 직접적이다. 김포 한강신도시, 화성 동탄2신도시같이 최근 입주가 몰린 수도권 지역에선 이미 전셋값 하락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국지적으로 집주인이 세입자를 구하지 못하는 ‘역전세난’이 일어날 수 있다. 함영진 센터장은 “전세 대란 불길을 잡기에 충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기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