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일본이 '보통국가'로 거듭나려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하지만 그 책임은 어디에 있는가. 노 대통령이 지적한 대로 말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는 일본의 이율배반적 행태에 그 책임이 있다. 불행했던 과거사에 대해 말로는 사과한다면서도 일본 총리는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계속하고 있다. 역사를 왜곡한 교과서는 버젓이 검정을 통과하고 있고, 시마네현 의회는 '다케시마의 날'이라는 이름으로 독도를 점령했던 날을 기념하고 있다. 그러니 아직도 일본이 침략과 지배의 역사를 정당화하고, 다시 패권의 길로 나아갈지 모른다는 의구심을 갖게 되는 것이다.

과거사에 발목이 잡혀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동북아의 현실을 일본은 직시해야 한다. 중국은 경제.군사 대국으로 급부상하고 있고, 한반도의 분단도 영구불변의 것은 아니다. 지금과 같은 외교적 고립이 과연 일본의 미래에 어떤 의미를 갖게 될지 일본 지도자들은 냉정히 헤아릴 필요가 있다. 전쟁을 경험한 일본 지도자들이 전범(典範)을 보이지 않는다면 과거사 문제는 전쟁 경험이 없는 일본의 전후 세대에 부당한 부담으로 전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도 일본이 국력에 걸맞은 지도적 국가로 국제사회에서 대접받고, 그에 어울리는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그러려면 일본의 선택은 자명하다. 역사의식과 책임감을 갖고 침략과 전쟁의 과거사와 깨끗이 결별하는 모습을 행동을 통해 확실히 보여주는 것이다. 그것만이 일본이 역사의 굴레에서 벗어나 세계의 지도적인 보통 국가로 거듭나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