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희범 위원장 “러시아가 아예 불참하는 것은 아니라서 다행”

중앙일보

입력

지난달 25일 강경화 외교부 장관(왼쪽)이 2018 평창동계올림픽 현장시찰을 위해 강원도 강릉시 올림픽파크 강릉스피드스케이팅경기장을 찾아 이희범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으로부터 설명을 듣고 있다. [뉴스1]

지난달 25일 강경화 외교부 장관(왼쪽)이 2018 평창동계올림픽 현장시찰을 위해 강원도 강릉시 올림픽파크 강릉스피드스케이팅경기장을 찾아 이희범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으로부터 설명을 듣고 있다. [뉴스1]

2018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를 이끄는 이희범 위원장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6일(한국시간) 집행위원회에서 국가 주도의 도핑 스캔들을 일으킨 러시아 선수단의 평창올림픽 출전을 금지하도록 결정한 것에 대해 “러시아가 아예 불참하는 것은 아니라서 다행이다. IOC가 차선의 대안을 내놨다고 본다. 선수라도 개인 자격으로 출전하게 된 것은 다행”이라고 밝혔다.

 IOC 집행위원회 참석을 위해 이날 새벽 스위스에 도착한 이 위원장은 연합뉴스와 전화통화에서 “IOC가 차선의 대안을 선택했다”고 평가했다.

 IOC는 집행위원회에서 러시아 선수단의 평창동계올림픽 출전을 금지했다. 다만 러시아 선수들이 올림픽기를 달고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OAR)’ 자격으로 출전하는 것은 허용하면서 강화된 도핑 검사 통과를 조건으로 걸었다. 러시아 깃발과 국가 연주는 금지하면서 도핑과 관련 없는 선수들의 개인 자격 출전을 허용해 최소한의 올림픽 출전 길은 열었다.

 이에 대해 이 위원장은 “어쨌든 IOC 깃발을 들고 참석하는 모양새지만 러시아가 아예 불참하게 된 것은 아니다”라며 “비록 러시아 깃발을 들고 나오지 못하지만, 선수들이 참가할 수 있는 만큼 IOC가 차선의 대안을 내렸다”고 말했다.

평창올림픽 출전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로 뜬 러시아. 러시아올림픽위원회는 지난달 29일 올림픽에 나설 선수들이 입을 선수단복을 발표했다. [AP=연합뉴스]

평창올림픽 출전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로 뜬 러시아. 러시아올림픽위원회는 지난달 29일 올림픽에 나설 선수들이 입을 선수단복을 발표했다. [AP=연합뉴스]

 그는 “IOC가 이런 결정을 내리려면 러시아와 어느 정도 교감을 나눴을 것을 생각된다. IOC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기 싸움을 한 거 같다”라며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도 이런 사안을 칼로 무를 자르듯 결정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분석했다.

 이어 “도핑과 관련된 선수가 아니라면 출전할 수 있다. 선수 입장에서도 출전해서 메달을 딸 수 있게 됐다”라며 “IOC가 이런 결정을 내린 것은 그나마 다행”이라고 덧붙였다.

 러시아 선수단의 불참으로 평창올림픽 흥행에 영향을 끼치지 않겠느냐는 우려에 대해선 “선수들이 아예 참가를 못 하는 것은 아닌 만큼 크게 걱정하지는 않는다”며 “기본적으로 IOC가 결정을 내린 사안인 만큼 조직위도 따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평창올림픽을 흥행시켜야 하는 조직위 입장에서는 러시아 선수단이 러시아 깃발을 들고 참석하는 게 최선이지만 조직위가 IOC의 결정을 반대할 힘은 없다. 그나마 러시아 선수들이 개인 자격으로 참석하게 된 것을 환영하는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김민상 기자 kim.mins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