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기준금리 연 1.50%로 인상’.
관건은 내년 경기와 한ㆍ미 기준금리 추가 인상 속도 #경기 회복에 따른 금리 인상 판단, 코스피 전망 ‘아직은 맑음’ #국내ㆍ외 경기와 수출 여건이 향후 주식시장, 금리 변수 #채권시장도 차분했지만 시장금리 추가 상승 불가피
30일 한은이 2011년 6월 이후 6년5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올렸다는 속보에 코스피는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금통위 기준금리 인상 결정 소식이 전해지기 전 장중 한때 2500선이 무너졌다. 지난달 31일 이후 약 한 달 만이다.
금리 인상이 결정된 뒤 2500선을 만회했던 코스피는 오전 11시 현재 다시 2500선이 흔들리며 전날보다 0.6% 내린 2498.21에서 거래되고 있다. 외국인 매도세가 강하다. 외국인 투자자는 이 시각까지 1600억원어치 주식을 순매도했다. 코스닥은 전날보다 0.5% 내린 778.02에서 거래 중이다.
코스피 하락에도 증권업계 “금리 인상 이미 예측, 선반영”
다만 증권업계 반응은 비교적 차분하다. 29일 북한의 미사일 도발에도 덤덤했던 코스피다. “충분히 예상했던 결과라 코스피에 큰 충격은 이어지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김진평 삼성선물 연구원은 “(그동안 한은은) 단기 금리 급등에도 ‘통화정책 완화 정도를 축소할 여건이 성숙됐다’고 언급하는 등 이달 금리 인상을 강하게 시사해왔다”며 “동결시 서프라이즈로 인식됐을 것”이라며 충분히 예고됐던 결과라고 설명했다.
박소연 한국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투자전략팀장은 “기준금리 인상을 경기 회복의 증거라고 보는 투자자가 많다”며 “앞으로 주식시장 자체는 이번 기준금리 인상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은의 금통위는 이번이 올해 마지막이다. 다음 달엔 열리지 않고 내년 1월이 돼야 다시 개최된다.
앞으로의 주식시장 변수, 추가 금리 인상과 경기 회복 속도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하나(한은의 기준금리 인상)가 사라졌다. 서보익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코스피 3분기 어닝(실적) 시즌 마무리, 석유수출국기구(OPEC) 정례회의를 전후한 유가 상승, 다음달 예정인 정부의 코스닥 시장 활성화 대책에 대한 기대감이 이제 주식시장의 관심 사안”이라고 짚었다.
시장의 눈은 이미 내년으로 향해 있다. 박소연 팀장은 “금리 수치 자체가 올라가는 건 이슈가 아니다. 경기 회복 속도보다 금리 인상 속도가 빠르냐, 느리냐의 차이가 시장의 반응을 가른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금리 추가 인상 자체보다는 내년 경기의 방향성, 회복의 속도가 앞으로 주식시장의 흐름을 결정하겠다”고 전망했다.
‘기준금리 1.50% 시대’ 주식시장의 향방을 가를 내년 경기 전망은 그리 나쁘지 않다. 범광진 KB자산운용 WM스타자문단 팀장은 “현재 금리 인상의 배경은 견조하게 회복 중인 경기”라고 짚으면서 “국제통화기금(IMF)도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3.2% 정도 예상하는데 올해 초 2%대 초반에서 크게 상향 조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범 팀장은 “경기 회복이 한국 경제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세계 경제 전반에 해당하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기업 이익 증가, 수출 호조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관측했다.
채권시장도 출렁임 적었지만, 시장금리 상승세 ‘불가피’
이날 채권 시장은 금리 인상 발표 전후 분위기가 달랐다.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금리 인상 결정 전 연 2.12%까지 올랐지만 금리 인상이 확정되고 난 뒤 하락 반전했다. 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격은 떨어진다. 반대로 금리가 내리면 가격은 오른다는 뜻이다. 오전 11시 현재는 낙폭이 점점 커져 전날보다 0.03%포인트 내린 2.08%에서 거래 중이다. 5년 만기와 10년 만기 국고채 금리도 각각 하락 반전해 0.03%포인트, 0.01%포인트씩 내렸다. 20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보합이다. 서보익 연구원은 “채권시장은 금리 인상분을 상당 부분 선반영하고 있어 시장의 충격은 크지 않겠다”고 밝혔다.
다만 장기적으로 채권 시장에는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날 채권 금리는 금리 인상분 선반영으로 크게 출렁이지 않았지만 한은의 기준금리 상향 조정은 이번 한 번만으로 끝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도 추가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했다. 내년 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진다면 추가 채권 금리 상승(수익률 악화)은 불가피하다.
조현숙ㆍ이새누리 기자 newer@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