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이번 도발 미리 예고됐고, 사전에 우리 정부가 파악”....정부, 사전 인지 어떻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대통령은 29일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으로 추정되는 미사일을 발사한 직후 열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에서 “이번 도발은 미리 예고되었고, 사전에 우리 정부에 의해 파악되었다”며 “대비 태세도 준비해 두었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29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 오전 6시 국가안전보장회의 전체회의를 소집해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29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 오전 6시 국가안전보장회의 전체회의를 소집해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

실제로 문 대통령은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한지 2분만인 오전 3시19분에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으로부터 첫 보고를 받았다. 5분 뒤인 오전 3시 24분 2차 보고를 받은 문 대통령은 오전 6시에 NSC 전체회의를 소집하라고 지시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NSC 전체회의가 개최까지 문 대통령은 총 5차례 보고를 받았다”고 전했다. 오전 6시부터 55분간 NSC 전체회의를 주재한 문 대통령은 오전 8시30분부터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20분간 전화 통화를 했다.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지난 27일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할 경우 정밀타격훈련을 할 수 있는 권한을 합참의장에게 위임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 움직임에 관한 보고를 받고서다. 다음날인 28일엔 청와대 참모진과의 오전 티타임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임박했다는 징후를 국민들에게 예고하는 게 좋겠다고 지시했다고 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이 국민들께서 상황을 알고 마음의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알리라고 지시했다”며 “다만 청와대가 대변인을 통한 정식 브리핑을 하게 되면 국민들이 여러 가지로 놀라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국방부가 일부 알리는 형식으로 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같은 날 오후 10시30분엔 정의용 안보실장으로부터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임박했다는 내용의 대면 보고를 받았다.

한미 양국 군이 지난 7월 5일 북한의 도발에 대응해 탄도미사일 사격훈련을 시행했다. [중앙포토]

한미 양국 군이 지난 7월 5일 북한의 도발에 대응해 탄도미사일 사격훈련을 시행했다. [중앙포토]

 다음날 실제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자 합동참모본부는 6분만인 오전 3시23분부터 지상과 해상, 공중에서 탄도미사일과 함대지미사일을 동원한 정밀 타격 훈련을 실시할 수 있었다.

북한 미사일 발사의 사전 징후를 파악하는 과정에서는 한·미·일 정보당국간 긴밀한 공조가 이어졌다고 청와대 관계자는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에서 “한·미 양국이 이번 미사일 발사와 관련한 정보를 교환하며 동향을 예의 주시하는 등 긴밀히 공조했다”고 평가하며 “양국이 북한의 의도를 종합적으로 감안해 면밀하게 대응하자”고 말했다.

앞서 일본 정부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준비를 의심하게 하는 전파 신호를 포착해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는 사실이 28일 일본의 교도통신을 통해 보도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 수위가 높아지자 북한 핵·미사일과 관련한 군사기밀을 교환하는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을 1년 더 연장하라고 지난 8월 지시했다.

위문희 기자 moonbrigh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