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환구시보 "한국, 3불 안 지키면 유커에 외면당할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한 29일 오전 10시 환구시보 웹사이트 메인화면에 한국의 사드 철수를 촉구하는 사설(붉은 원 표시)이 큰 글씨로 노출돼 있다. [환구시보 캡처]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한 29일 오전 10시 환구시보 웹사이트 메인화면에 한국의 사드 철수를 촉구하는 사설(붉은 원 표시)이 큰 글씨로 노출돼 있다. [환구시보 캡처]

29일 새벽 북한이 동해상으로 역대 최장 사거리의 미사일을 발사한 가운데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한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철수를 촉구하는 사설을 게재했다.

북한이 최장 사거리 미사일 쏜 29일에 #중국 관영 일간지 환구시보 사설 게재 #"韓, 3불 약속에 사드 이용 제한 추가해야" #"사드 철수 없이는 양국 관계 개선 어려워"

이 사설에서 환구시보는 “한국이 신뢰을 얻지 못하면 유커가 한국 가거나 한국 상품 구매하지 않을 것이며 중국인들이 한류스타를 좋아하지도 않을 것”이라며 중국의 금한령을 다시 거론했다.

이날 환구시보는 '3불1한(3不1限, 세 가지 하지 않을 것과 한 가지 제한 사항)'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한국이 3불(한국의 사드 추가배치·미국 미사일방어체계 참여·한미일 군사동맹 불가) 약속에 사드 사용을 제한한다는 '1한'을 추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환구시보는 이어 "사드 문제를 해결하는 서막이 열렸지만 사드가 한국에서 철수되기 전에는 한중관계의 새로운 장을 열리지 않을 것"이라며 "3불1한은 한국의 약속이며, 중국에 우호적인 국가가 지켜야 할 마지노선”이라고 강조했다.

고요한 모습 보이는 사드 기지   (성주=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12일 경북 성주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기지에서 발사대가 하늘을 향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11일 베트남 다낭에서 열린 아·태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그동안 관계개선의 최대 장애가 돼온 사드 갈등에 마침표를 찍고 양국 교류협력을 정상궤도로 회복시키자는데 뜻을 모았다. 2017.11.12   yatoy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고요한 모습 보이는 사드 기지 (성주=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12일 경북 성주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기지에서 발사대가 하늘을 향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11일 베트남 다낭에서 열린 아·태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그동안 관계개선의 최대 장애가 돼온 사드 갈등에 마침표를 찍고 양국 교류협력을 정상궤도로 회복시키자는데 뜻을 모았다. 2017.11.12 yatoy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또 환구시보는 "한국 측은 3불이 약속이 아니라 입장 표명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게다가 3불엔 중국의 전략 이익을 해치는 사드 사용을 제한하겠다는 내용이 담겨 있지 않다"며 "사드 사용을 제한하지 않은 상황에서 이를 운용하는 미국이 북한만 겨냥하고 중국 안보에 피해를 주지 않으리라는 것을 어떻게 보장하겠느냐"고 지적했다.

환구시보는 “한국 내 3불 약속을 둘러싼 논쟁이 지속되는 점을 감안할 때 한국 정부가 해당 약속을 지키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한국이 사드와 연관해 밝힌 입장은 우리 중국과 국제사회의 보편적 인식에 따르면 약속이며, 한국은 마땅히 말을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환구시보는 이어 "한국이 국내 정치 문제로 3불 '약속'과 사드 '제한'이라는 표현을 받아들일 수 없다면, 중국의 전략 이익을 해치지 않겠다는 것을 보증할 만한 다른 명확한 표현을 찾아내야 할 것"이라고 요구했다.

환구시보는 최근 개선 단계로 접어든 한중관계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이 신문은 "한국 태도의 불일치로 한중 관계 전망은 비관적일 수밖에 없다"며 "문재인 대통령이 곧 중국을 방문할 예정이지만 양국 관계에 새로운 풍파가 일 것은 불가피한 현실"이라고 주장했다.

해당 사설은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기 전인 29일 새벽 1시께 온라인 게재됐으나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고 한·미·일 3국과 유엔 등 국제사회가 이를 규탄한 이후에도 홈페이지 메인 화면 상단에 계속해서 노출됐다.

이기준 기자 foridealis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