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학자, “사드 배치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개인적 결정”

중앙일보

입력

후안강(胡鞍鋼) 칭화대(淸華大) 국정연구원장이 27일 인천 파라다이스시티호텔에서 열린 2017 여시재 포럼에 참석해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했다. 박성훈 기자

후안강(胡鞍鋼) 칭화대(淸華大) 국정연구원장이 27일 인천 파라다이스시티호텔에서 열린 2017 여시재 포럼에 참석해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했다. 박성훈 기자

후안강(胡鞍鋼) 칭화대(淸華大) 국정연구원장이 27일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배치를 두고 “박근혜 전 대통령이 중국이 반대하는 것을 알면서도 그런 결정을 내린 것은 중국은 물론 러시아까지 함께 건드린 비합리적 결정”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박 전 대통령의 정책보좌관들이 어떻게 비용과 수익을 계산했는지 모르겠다. 그의 개인 결정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고도 했다.

후 원장은 시진핑(習近平) 주석이 제창한 일대일로(一帶一路·육해상 실크로드)의 청사진을 그린 경제 정책의 핵심 브레인 중 한 명이다. 그는 민간 싱크탱크인 여시재(이사장 이헌재)가 주최한 국제포럼(‘동북아 안정과 번영을 위한 신경제 구상:나비프로젝트’)에 참석 차 방한했다가 이날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 응했다.

후 원장은 자신의 발언을 "정부 입장을 대변하는 게 아닌 개인 견해"라고 말했다. 그러나 학자로서도, 한국 전직 대통령에 대한 비판 수위가 이례적으로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후 원장은 대신 문재인 대통령에 대해선 “중국을 깊이 이해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현재까지 한·미·일 군사동맹을 체결하지 않는다고 공개한 대통령은 없다고 알고 있다. 이것은 진정한 정치가가 할 수 있는 행동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앞서 일련의 인터뷰를 통해 “한·미·일 공조가 중요하지만 군사동맹 수준으로 발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발언한 걸 지칭한 것이다. 후 원장은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중국과 함께 북한을 평화 협상 테이블로 복귀시키겠다고 얘기 했다. 이것은 굉장히 합리적인 의사결정이라고 생각한다”며 “중·한관계에 유리할 뿐 아니라 나아가 전세계의 안정에 기여를 할 것으로 본다”고 했다.

시진핑 주석의 차기 후계자 지명과 관련 후 원장은 “포스트 시진핑에 관심이 많지만 아직 얘기하긴 시기가 이르다”며 “이번 19차 당대회에서 선발된 정치국 상무위원 7명은 훌륭한 인재들이다. 모든 사람을 잘 키운 다음 제일 우수한 사람을 뽑는 것이 좋다고 본다”고 말했다.

박성훈 기자 park.seongh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