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빈곤지역 지원금 받으려면…"예수 대신 시진핑 사진 걸어라" 지원 조건 논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중국 정부가 한 빈곤지역에 지원 조건으로 종교 대신 공산당에 대한 믿음을 강요해 논란이 일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집권 이후 중국내 종교 억압 정책이 강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홈페이지]

[사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홈페이지]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4일, 중국 장시성 위간현에서 현지 정부가 빈곤퇴치사업에 나선 가운데 예수상이나 십자가 등을 떼어내고 시진핑 주석의 사진을 걸 것을 강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위간현은 전체 인구 100만명 중 11%가 빈곤 인구로 분류되는 지역으로, 지역 주민들에게 빈곤 지원금을 주는 빈곤퇴치사업을 추진중이다.

SCMP는 한때 중국 SNS에 시 주석의 사진을 거는 사진과 함께 이 지역의 한 마을인 황진부에서만도 600여명의 마을 주민이 성경과 성화(聖畵)를 치우고, 그 자리를 시 주석의 사진 453장으로 대체했다는 글이 올라왔다가 사라졌다고 전했다. SCMP는 이 글의 내용을 복수의 마을 주민과 지방 공무원을 통해 확인한 결과 사실인 것으로 드러났다고 덧붙였다.

논란이 된 황진부 마을은 전체 인구의 3분의 1 가량인 5000~6000가구가 기독교 가정으로, 정부는 이 지역에 1000장 넘는 시 주석의 사진을 배포해 각 가정에 걸도록 한 것으로 알려졌다. 치옌 황진부 인민대표대회 위원장은 "많은 빈곤 가정이 가족의 병 때문에 가난에 빠져들었지만, 일부는 병을 치료하기 위해 예수를 믿고 있다"면서 "병이 든 것은 물리적인 것이고, 그들을 도울 수 있는 것은 당과 시진핑 총서기라는 점을 전파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홈페이지]

[사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홈페이지]

황진부 마을 뿐 아니라 위간현 내 다른 마을에서도 종교 관련 물품을 치우라는 지시가 내려진 것으로 파악됐다. 황진부가 아닌 다른 지역에 사는 류모씨는 SCMP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몇 달 사이 주민들이 종교 관련 물품을 치우라는 지시를 받았다"며 "그렇게 하지 않으면 빈곤 지원금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전했다.

중국 내 기독교는 문화대혁명 이후 40여년간 농촌과 도시 모두에서 빠르게 성장했다. 일각에선 기독교인이 9000만명 가량인 공상당우너보다도 많다는 통계까지 나오면서 당 차원의 종교 업악 정책이 나오고 있다.

SMCP에 따르면, 특히 시 주석의 집권 이후 공산당의 영도가 강조됨에 따라 종교에 대한 억압 정책이 강화되고 있다. 장시성과 저장성 등지에선 가정과 교회에 십자가와 성화 등을 없애라는 강요가 잇따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상욱 기자 park.lepremie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