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트럼프 ‘엄포’ 통했나…도요타, 멕시코 생산량 절반으로

중앙일보

입력

도요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엄포’에 두 손 들었다.
도요타가 멕시코 과나후아토에 건설 중인 새 공장의 자동차 생산량을 애초 계획했던 연 20만대에서 10만대로 줄이기로 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투자 규모도 10억 달러(약 1조1200억원)에서 7억 달러로 낮췄다. 대신 도요타는 미국에서의 자동차 생산량을 지금보다 더 늘리기로 결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선일 시절부터 멕시코에 공장을 짓는 도요타를 비판해 왔다. [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당선일 시절부터 멕시코에 공장을 짓는 도요타를 비판해 왔다. [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인 시절인 지난 1월 트위터에 올린 도요타 비판 글. 공장을 미국에 짓든지 관세를 더 물든지 하라는 내용. [트럼프 트위터 캡쳐]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인 시절인 지난 1월 트위터에 올린 도요타 비판 글. 공장을 미국에 짓든지 관세를 더 물든지 하라는 내용. [트럼프 트위터 캡쳐]

도요타는 지난 8월 멕시코 새 공장에서 코롤라를 생산키로 했었지만 이 역할을 미국 공장에 넘기겠다고 밝힌 바 있다. 멕시코의 새 공장에서는 내년부터 코롤라가 아닌 픽업트럭을 만들게 된다고 WSJ는 전했다. 도요타는 2021년까지 마쓰다와 미국 공장을 설립해 연 30만대 생산체제를 갖춘다는 방침이다. 이 회사는 미 켄터키 완성차 공장에 13억3000만 달러를 투자하고 2020년부터 웨스트버지니아 공장에서 하이브리드자동차의 핵심부품을 생산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미국은 도요타의 주력 시장 중 하나로 지난해 도요타의 북미시장 판매량은 284만대를 기록해 전 세계 판매량의 30%를 차지했다.

관련기사

미국과 일본 언론들은 도요타의 새 멕시코공장 운영 축소 조치가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에 못 이겨 나온 것으로 봤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 “도요타 멕시코 공장은 절대 안 된다. 미국에 공장을 세우든지 아니면 관세를 내라”는 내용의 글을 트위터에 올리며 맹비난했다. 또 멕시코산 자동차에 수입관세 35%를 부과할 것이라고 엄포놓기도 했다. 이에 포드는 멕시코로 미국 공장을 이전하려던 계획을 철회했고, 제너럴모터스(GM)도 멕시코 공장 증설 계획을 백지화한 바 있다.

연 생산 20만대에서 10만대로…투자도 30% 줄여 #트럼프 “미국에 공장 세우든지 아니면 관세 35% 내라” 압박 # 현대차ㆍ포드ㆍ폴크스바겐 등 “NAFTA 폐지 반대” 연합 결성 # #

 NAFTA 폐기반대운동을 하기 위해 결성된 자동체 업체들의 ‘미국 일자리 창출’연합체 홈페이지. [인터넷 홈페이지 캡쳐]

NAFTA 폐기반대운동을 하기 위해 결성된 자동체 업체들의 ‘미국 일자리 창출’연합체 홈페이지. [인터넷 홈페이지 캡쳐]

한편 블룸버그는 현대자동차와 GM, 포드, 폴크스바겐, 도요타 등이 ‘미국 일자리 창출’(Driving American Jobs)이라는 이름의 연합체를 결성했으며 앞으로 TV 광고를 시작으로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폐기 반대운동을 본격화한다고 보도했다.

연합체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NAFTA 폐기는 자동차 생산은 물론 관련 일자리 감소, 소비자 구매비용 증가를 초래한다”며“해외시장 수출에도 큰 충격을 가져오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이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북미에서 차량을 조립할 경우 이 지역 부품 사용 비율을 크게 높이려는 데 강하게 반발했다. 연합체는 “현재 62.5%인 북미산 의무사용 비율을 85%로 끌어올리라는 것인데 그렇게 하려면 미국산 부품 비율을 지금보다 적어도 50%는 더 올려야 한다”면서 “기업들은 결국 역내 부품 생산을 늘리기보다는 관세 납부를 선택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들은 “자동차 분야에서 미국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개정하자고 제안한 내용을 업계 입장에서 보면 NAFTA를 완전히 폐기하자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자동차 업계와 근로자, 경제 모두에 재앙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블룸버그는 미국, 유럽, 한국, 일본의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단일 이슈를 놓고 연합체를 결정해 공동대응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문병주 기자 moon.byungj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