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기준금리 인상 예고 … 비상등 켜진 주담대 금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일제히 상승했다. 시장금리 상승세가 본격화되면서 당분간 대출금리가 오름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주택담보대출을 받았거나 받을 예정인 소비자들의 고민이 커진다.

코픽스 0.05%P 올해 최대폭 인상 #‘채무 고위험가구’ 큰 폭 증가 우려 #소비자들 고금리 부담 줄이려면 #단기는 변동, 장기는 고정금리 유리

17일 주요 시중은행은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의 금리를 전날보다 0.05~0.07%포인트 인상했다. 전날 대출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신규취급액 기준)가 0.05%포인트 오르자 이를 반영했다. 이는 올해 들어 가장 큰 상승 폭이다.

5대 시중은행 중 신한·우리·KEB하나·농협은행은 코픽스 인상분을 그대로 반영해 6개월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0.05%포인트 올렸다. 국민은행은 가산금리까지 조정해 코픽스 인상 폭보다 큰 0.07%포인트 인상했다.

[그래픽=이정권 기자 gaga@joongang.co.kr]

[그래픽=이정권 기자 gaga@joongang.co.kr]

앞으로도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오를 일만 남았다. 지난달 말 1.7247%였던 금융채(1년 만기) 금리는 추석 연휴 이후에 오름세를 이어가 17일엔 1.7947%를 기록했다. 불과 보름여 만에 이미 0.05%포인트 상승했다. 시장금리는 2015년 이후 4분기만 되면 뛰었다. 2015년 12월과 2016년 12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올린 것이 시장에 미리 반영됐기 때문이다. 올해도 12월에 Fed의 기준금리 인상이 예고된다. 김상훈 KB증권 수석연구위원은 “올 4분기엔 미 Fed의 영향 못지않게 북핵 위기로 인한 외국인의 국내 채권 매도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시장금리를 끌어올리는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대출금리가 꿈틀하면 그 파장이 적지 않다. 특히 기준금리인 코픽스가 오르면 신규대출뿐 아니라 기존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앞서 한은은 6월 금융안정보고서에서 “대출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채무상환 능력이 취약한 고위험가구가 2만5000가구, 1.5%포인트 오르면 6만 가구 증가한다”고 분석했다.

그렇다면 금리 인상으로 인한 부담을 피하기 위해 고정금리형 대출을 선택하는 것이 정답일까. 이는 대출금리가 어떤 속도로 오를지, 소비자의 대출 상환 기간이 얼마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당장은 변동금리가 고정금리 대출보다 금리가 0.5%포인트 정도 싸다. 박대범 농협은행 대전 탄방동지점 여신팀장은 “아직은 한은이 내년에 기준금리를 1~2회 올릴 거라는 전망이 우세하다”며 “3년 정도 짧은 시간 안에 대출을 갚을 계획이라면 변동금리가 낫고, 장기로 10년 이상 갚아나갈 계획이라면 고정금리 대출을 검토할 만하다”고 조언했다.

◆가산금리 오름세는 주춤=앞으로 대출을 받으려는 소비자는 시장금리뿐 아니라 가산금리 움직임도 중요하다. 처음 대출 받은 시점에 결정되는 가산금리가 만기까지 이어지기 때문이다.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1월 평균 1.27%였던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가산금리(15개 은행 단순평균)는 올 1월엔 1.61%로 뛰었다. 지난해 6월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로 시장금리가 떨어지자 각 은행은 가산금리를 높이는 식으로 대출금리 수준을 유지했다. 이에 대해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가산금리가 이른바 은행들의 ‘이자놀이’ 문제의 핵심이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며 “최근 은행권 전반적으로 비용절감 기조가 지속된 것을 감안한다면 가산금리 인상을 비용 때문으로 설명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런데 1.6%대 초반에 머물던 은행권 가산금리는 6월부터 떨어지기 시작해 지난 8월엔 1.53%로 내려갔다. 6월부터 금융당국이 ‘대출금리체계 모범규준’을 시행하면서 가산금리 조정이 까다로워진 것이 한 원인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들은 가산금리를 인상할 때 내부 심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하고 감독당국도 절차를 제대로 거쳤는지 따지기 때문에 은행 마음대로 금리를 올릴 수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경쟁자의 출현도 자극이 됐다.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 출범 이후 은행들이 주택담보대출뿐 아니라 신용대출 가산금리도 인하에 나섰다. 은행권 관계자는 “은행 간 경쟁을 유도한 것이 소비자 편익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다”고 말했다.

한애란·고란 기자 aeyani@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