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트럼프, 북 압박에 군사옵션도 있다는 원론적 발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청와대는 19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72차 유엔 총회 연설에서 북한의 도발에 대한 군사옵션 실행 가능성을 열어둔 것과 관련해 “미국 정부가 이 문제를 얼마나 심각하게 보고 있는지를 잘 보여주었다”고 평가했다.

미 대통령 유엔연설에 대한 평가 #청와대, 무력사용은 최후수단 입장 #“북 제재 최대치 끌어올려 대화 유도 #트럼프도 대화 않겠다는 뜻 아닐 것”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특히 미국 대통령으로서 이례적으로 긴 시간을 할애해 북핵 및 북한 문제에 대해 입장을 표명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변인은 이어 “트럼프 대통령의 연설은 국제사회와 유엔이 당면한 평화 및 안전 유지와 관련한 주요 문제에 대해 확고하고 구체적인 입장을 표명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미 양국 정상이 그간 누차 밝힌 바 있듯이 북한의 엄중한 핵미사일 도발에 대해 최대한도의 제재와 압박을 통해 북한으로 하여금 비핵화만이 미래를 위한 유일한 길이라는 점을 깨닫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재확인한 것”이라며 “양국은 이 문제와 관련해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긴밀한 공조와 협의를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연설이 끝난 뒤 뉴욕 프레스센터에서 기자들과 만나 “지금까지 강조해 온 최고의 제재·압박과 관련해 경제·외교적 옵션 외에도 군사적 옵션도 함께 있다는 평소의 발언을 다시 강조한 원론적 발언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1953년 휴전 이후 미국은 항상 모든 옵션을 테이블 위에 갖고 있다는 일관된 입장을 견지해 왔다”며 “미국이 결국 어떤 옵션을 선택하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군사적 옵션의 경우는 경제·외교적 옵션으로 북한을 대화의 테이블로 끌어올 수 없고 자국에 대한 확실한 위협이 가해질 때 사용할 최후의 수단이라는 원론적 입장을 분명히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19일 연설에서 “우리와 동맹을 방어해야 한다면 북한을 완전히 파괴하는 것 말고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며 “로켓맨(김정은)은 그와 그의 정권을 자살로 몰아넣는 미션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미국은 준비가 됐다. 그럴 의향도 있고 역량도 있지만 그럴 필요가 없기를 바란다”고도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또 “국제사회가 합의한 북한에 대한 기조는 경제적 압박을 최고치로 끌어올린다는 것”이라며 “(압박의) 결과물로 대화 테이블이 마련되면 대화를 하자는 의미로, 트럼프 대통령이 이러한 대화까지 하지 않겠다는 뜻은 아니다”고 말했다.

뉴욕=강태화 기자 thk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