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400년 전 조선여성 사망원인 밝혀내…현대인 질병인 ‘심혈관질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국내 연구팀이 질병 유전자 분석을 통해 17세기 조선시대 미라의 사망원인을 밝혀내는 데 성공했다. 사진은 2010년 경북 문경에서 발견된 조선시대 여성 미라의 모습. [사진 플로스원 논문 발췌]

국내 연구팀이 질병 유전자 분석을 통해 17세기 조선시대 미라의 사망원인을 밝혀내는 데 성공했다. 사진은 2010년 경북 문경에서 발견된 조선시대 여성 미라의 모습. [사진 플로스원 논문 발췌]

국내 연구팀이 17세기 조선시대 여성 미라의 사망원인을 밝혀내는 데 성공했다.

400년 전 조선시대 여성의 사망원인은 놀랍게도 현대인들의 질병으로 생각되는 ‘동맥경화증에 의한 심혈관질환’으로 밝혀졌다.

12일 이은주(서울아산병원 노년 내과)ㆍ신동훈(서울대병원 해부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에 따르면 2010년 경북 문경에서 발견된 1600년대 여성 미라(사망 나이 35∼50세 추정)의 사인을 유전자분석 방식으로 분석한 결과 ‘죽상동맥경화증에 의한 심혈관질환’으로 확인됐다.

동맥경화는 혈관에 콜레스테롤 찌꺼기 등이 쌓여 지름이 좁아지는 질환이다. 기름기가 많은 고칼로리 식단과 흡연, 운동 부족 등이 원으로 현대인의 질병으로 꼽힌다. 400년 전 젊은 미라의 사망원인이 혈관 질환이었다는 연구 결과에 따라 우리 조상에게도 이런 질환이 생길 수 있는 유전적 소인이 있었음이 확인됐다.

미라의 사인을 규명하는 데 유전자 분석기술을 사용한 이번 시도는 국내 최초다. 해외 사례로는 2012년 유럽 공동연구팀이 5300년 된 미라 ‘아이스맨’의 동맥경화증을 세계 처음으로 밝혀내 놀라움을 자아낸 바 있다.

이 기술은 특정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참조용 표준 유전체(게놈)’와 비교해 해당 질병이 있었는지를 보는 방식이다.

연구팀은 우선 미라의 컴퓨터단층촬영(CT) 영상을 통해 죽상동맥경화증 가능성을 확인했다. 그러나 영상만으로는 판독이 어려워 유전자 분석술까지 시도한 것이다.

해당 연구는 검사 표본이 너무 오래돼 조사가 어려운 미라에도 유전자 분석기술을 적용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서 의미가 크다고 봤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