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판이 지배한 야구 경기' 별명 얻게 한 심판 판정

중앙일보

입력

2017 KBO 리그 프로야구에서 '심판이 지배한 경기'라는 비아냥을 받는 경기가 나왔다. 바로 지난 27일 LG대 두산 경기다.

[사진 MBC Sports 방송화면]

[사진 MBC Sports 방송화면]

이날 경기는 연장 12회 혈투 끝에 무승부로 마무리됐다.

그러나 온라인에서 프로야구 팬들은 경기의 주심에게 많은 불만을 표출했다. 심판의 들쑥날쑥한 판정이 선수들을 혼란시켰다는 게 요지다.

박건우가 스트라이크 아웃 판정에 항의 중이다. [사진 MBC Sports 방송화면]

박건우가 스트라이크 아웃 판정에 항의 중이다. [사진 MBC Sports 방송화면]

대표적으로 1회 말 LG의 허프가 던진 4번째 공이 있다. 공이 스트라이크 존에서 조금 멀어 보이지만 심판은 스트라이크 아웃을 선언했고, 이에 불만스러운 듯 두산의 박건우는 심판에게 항의했다. 박건우만 그렇게 본 것이 아니었다. 경기를 지켜본 시청자들도 "저 공은 스트라이크보다 볼에 더 가까워 보인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11회 말 LG 투수 신정락과 두산 타자 허경민의 승부에서도 의아한 판정이 나왔다. 신정락이 던진 변화구는 큰 궤적을 그리며 포수의 미트로 빨려 들어갔다. 허경민은 공에 맞을까 몸을 비틀었지만, 공은 스트라이크존 안으로 들어가는 공이었다. 판정은 볼이었다.

허경민이 볼 판정을 받은 이후에 안타를 쳤다. [사진 MBC Sports 방송화면]

허경민이 볼 판정을 받은 이후에 안타를 쳤다. [사진 MBC Sports 방송화면]

당시 해설진들도 "지금은 몸에 맞았더라도 인정이 안 됐을 거예요"라며 공이 스트라이크에 더 가깝다고 판단한 듯했다.

허경민은 결국 그다음 공을 쳐 내야안타로 출루했다. 점수는 나지 않았지만, 그 판정이 충분히 경기의 흐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었다.

네티즌들은 이 판정에 매우 불만족스런 모습이었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의 게시판에는 "심판이 작정한 것 같다" "심판을 때리고 싶다" "심판이 지배하는 경기가 맞다" 등 원색적 비난을 서슴지 않았다.

[사진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사진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사진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사진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프로야구 심판의 금품 수수 논란, 오심 논란이 끊이지 않는 등 프로야구 심판에 대한 야구팬들의 불신이 점점 커지고 있다.

여현구 인턴기자 yeo.hyung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