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사드 배치 갈등 여전하지만…수천억원 들어가는 '사드 보상책' 지원은 빠르게 진행 중

중앙일보

입력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배치를 둘러싸고 반대파와 찬성파의 갈등이 끊이지 않는 상황에서도 경북 성주군에게 돌아가는 이른바 '사드 보상책' 지원은 차례대로 이뤄지고 있다.

최근 군부대에 성주참외 33t 납품 #軍, 앞으로 500여t 추가 구입 계획 #사드 갈등 진행 중에도 지원 이뤄져 #대구~성주 고속도로도 곧 착공될듯

성주군이 최근 군(軍)에 성주참외를 납품한 것도 사드 보상 사업 중 하나다. 8일 성주군에 따르면 최근 성주참외 33t을 국방부에 납품했다.

성주참외. [성주군 제공]

성주참외. [성주군 제공]

올해 일조량이 많아 참외 생산량이 늘어나 가격이 하락한 상황에서 참외를 군납하게 되면 가격이 다소 높아질 것으로 농민들은 기대하고 있다.

앞으로 국방부는 추가 구입을 통해 총 500여t 11억원 상당의 성주참외를 사들이겠다는 계획이다. 관련법인 주한미군 공여구역 지원 특별법을 개정해 성주참외 납품에 걸림돌이 되는 법적 문제도 해결할 방침이다. 현재는 법이 개정되지 않아 시범사업 형식으로 참외 납품이 이뤄지고 있다.

김항곤 성주군수는 "올해 시범사업을 계기로 성주참외가 전 부대에 납품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지속적인 협의를 이어나갈 것이며 성주참외 군납을 통해 성주군 이미지를 높이는 것은 물론 참외 산업에도 활력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5일 오후 경북 성주군 초전면 소성리 마을회관 앞에 설치된 사드 조형물. 성주=김정석기자

지난 5일 오후 경북 성주군 초전면 소성리 마을회관 앞에 설치된 사드 조형물. 성주=김정석기자

앞서 4월 행정자치부와 국방부, 성주군은 수 차례 협의를 거쳐 사드 배치에 따른 지원 사업을 확정했다.

▶8000억원 규모의 대구~성주 간 고속도로 건설 ▶5000억원 규모의 대구~성주 간 경전철 건설 ▶대구~성주 간 국도 30호선 교통환경 개선사업 지원(120억원) ▶경관 정비와 전선 지중화 사업 지원(25억원) ▶성주참외 군부대 납품 ▶제3 하나원 건립 우선 지원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관광자원 개발 ▶풀뿌리 기업 육성 등 9개 사업이다.

관련기사

이 중 가장 큰 규모의 사업인 대구~성주간 고속도로 건설 사업은 현재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 중이다. 오는 10월 조사가 마무리되면 성주군은 국비 예산 확보를 추진하고 내년엔 공사에 들어가겠다는 계획이다.

대구~성주 국도 30호선 교통환경 개선사업도 성주군의 의견이 대폭 반영돼 사실상 국도 확장사업으로 커졌다. 성주대교 추가 건설, 입체교차로 설치, 6차로 확장 등이 포함됐다.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잔여 발사대 4기가 이달 중 임시배치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지난 2일 경북 성주 사드 기지에서 기존에 배치된 발사대가 하늘을 향하고 있고 미군 관계자가 주변을 살피고 있다. 프리랜서 공정식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잔여 발사대 4기가 이달 중 임시배치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지난 2일 경북 성주 사드 기지에서 기존에 배치된 발사대가 하늘을 향하고 있고 미군 관계자가 주변을 살피고 있다. 프리랜서 공정식

경관 정비 사업과 전선 지중화 사업도 정부가 특별교부세 지원을 확정하면서 내년부터 추진된다. 이밖에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관광자원 개발도 공모사업으로 확정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대구~성주 경전철 건설 사업은 사업성이 낮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장기 과제가 될 전망이다. 인구 4만6000여 명이 살고 있는 성주군에서 과연 경전철을 이용하는 수요가 충분히 나오겠느냐는 지적이다.

대구~성주 경전철 계획. 사업성 문제로 장기 과제로 남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중앙포토]

대구~성주 경전철 계획. 사업성 문제로 장기 과제로 남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중앙포토]

성주군은 이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가 시작될 수 있도록 관련 지자체와 공감대를 형성해 나갈 방침이다.

성주=김정석 기자
kim.jung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