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수연 위원장, 소통 안했다” 부산국제영화제 직원들 성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강수연 집행위원장(왼쪽부터), 서병수 부산시장, 이용관 전 집행위원장. 지난 2015년 8월 25일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전당에서 열린 제20회 부산국제영화제 기자회견 당시 모습. [중앙포토]

강수연 집행위원장(왼쪽부터), 서병수 부산시장, 이용관 전 집행위원장. 지난 2015년 8월 25일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전당에서 열린 제20회 부산국제영화제 기자회견 당시 모습. [중앙포토]

부산국제영화제(BIFF) 사무국 직원들이 강수연 집행위원장이 보인 소통의 단절과 독단적 행보가 지나쳤다는 점을 거론하며 이용관 전 집행위원장의 BIFF 복귀를 호소하고 나섰다.

BIFF 사무국 성명 “이용관 전위원장 복귀해야”… #이 전 집행위원장은 업무상 횡령혐의로 기소돼 재판 중

BIFF 사무국 전체 직원 24명은 7일 성명서를 내고 “BIFF의 정상화와 제22회 영화제의 올바르고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이 전 집행위원장의 복귀를 호소한다”고 밝혔다.

직원들은 “(강 집행위원장은) 영화인 및 지역 시민사회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여론을 수렴해 영화제의 정상화에 힘써야 했으나 그렇게 하지 않았다”며 “두 번의 영화제를 개최하는 동안 실무자에 대한 불통과 불신으로 직원들의 사기는 땅에 떨어졌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서명서를 낸 배경에 대해 2014년 다큐멘터리 영화 ‘다이빙벨’ 상영 이후 초토화된 BIFF 사무국의 구원투수로 등장한 강 집행위원장의 독단적 행보와 소통 단절도 영화제의 위기를 초래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직원들은 “사태의 해결을 위해 구원투수처럼 등장한 강수연 집행위원장에게 직원들은 기대를 걸고 그의 뜻에 묵묵히 따르며 영화제 개최를 위해 열심히 일해” 왔는데, “기대와 달리 취임 이후 지금껏 보여 온, 영화제 대내외 운영에 대한 소통의 단절과 독단적 행보는 도가 지나치다”는 것이다.

게다가 김동호 BIFF 이사장에 강 집행위원장과 관련한 문제에 대해 진정을 했는데도 해결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또 이들은 “서병수 부산시장에게 책임을 묻고 사과를 받기는커녕 면죄부를 주었다”며 “두 번의 영화제를 개최하는 동안 실무자에 대한 불통과 불신으로 직원들의 사기는 땅에 떨어졌다”고도 주장했다.

이들은 “영화제의 존재 근거는 헌법에 명시된 표현의 자유이며 영화예술을 통한 문화 다양성의 수호”라며 “어떠한 이기적인 조작이나 정치적인 간섭이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 전 집행위원장은 영화 다이빙벨 상영 이후 이어진 부산시와 감사원의 감사 결과에 따라 업무상 횡령혐의로 기소됐다.

1심에서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고 2심에서 벌금형으로 감형받았다. 그는 2심 판결에 불복해 대법원에 상고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