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ICBM 발사 참관 김정은 지도 보니 … 목표는 일본 영해, 실제론 공해 떨어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북한은 지난달 4일과 28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4형을 발사하면서 ICBM의 최종 관문인 대기권 재진입 기술을 확보했다고 주장했다. 대기권 재진입 기술은 ICBM의 탄두부가 대기권을 벗어났다가 다시 돌입한 뒤 목표를 정확히 타격하도록 유도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북한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는 분석이 해외에서 속속 나오고 있다.

미국 연구소 특수편집으로 밝혀 #재진입 기술 미확보 분석 잇따라 #“2차 ICBM , 마찰·고열로 사라져”

일본의 영자지인 재팬타임스는 지난달 30일 미국의 민간 정보연구소인 스트러티직 센티널의 보고서를 인용해 지난달 4일 화성-14형 1차 발사 때 당초 목표 지점은 일본 영해(영토에서 22㎞ 이내)였다고 밝혔다. 홋카이도(北海道)의 오쿠시리(奧尻) 섬 인근 해역이다. 실제 탄착 지점은 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EEZ·250㎞ 이내)이었다. 북한 매체는 “공해상 설정된 수역”이라고 주장했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스트러티직 센티널은 증거로 사진 속의 지도를 제시했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쌍안경으로 발사 장면을 지켜보던 북한의 선전 사진이다. 지도는 당시 책상 위에 놓였다. 지도를 특수 편집한 결과 흐릿하지만 화성-14형의 예상 궤도가 나왔다. 지도상 목표 지점은 실제 탄착 지점보다 훨씬 일본과 가깝게 그려졌다.

라이언 배런클러 스트러티직 센티널 최고경영자(CEO)는 중앙일보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목표 지점과 탄착 지점이 달라진 이유를 알 수 없다”면서도 “북한의 미사일 기술이 아직 모자라거나 실제 쏠 수 있다는 걸 과시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마이클 앨먼 영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 선임연구원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북한 전문 매체 38노스에 “지난달 28일 발사한 화성-14형은 재진입에 실패했다”는 내용의 기고문을 올렸다. 앨먼은 당시 일본 NHK가 홋카이도에서 촬영한 재진입체 낙하 영상을 분석했다.

영상에 따르면 당시 화성-14형의 재진입체는 6~8㎞ 고도 상공에서 구름을 뚫고 섬광 모습으로 내려 오더니 3∼4㎞ 상공에서 빛을 잃고 빠르게 사라졌다. 앨먼은 “재진입체가 마찰과 고열을 견디지 못해 (여러 조각으로) 분해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철재 기자 seaja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