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화 "박근혜 대통령 만든 '책임' 때문에 정치 떠났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의화 전 국회의장은 “(보수는) 완전히 무너졌다”며 “물이 고이면 썩듯이 부패하기 시작했다”고 했다. “국민에 대해서 오만한 ‘안하무국민’(眼下無國民)이 된 것”이라고도 했다.

 자유한국당의 전신인 새누리당 출신의 정 전 의장은 지난 17일 한겨레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보수 정치를 이같이 평가했다. 정 전 의장은 2016년 의장 퇴임 당시 비박계(비박근혜계)가 전면 배제된 공천 파동에 대해 “새누리당은 이미 사당화됐다”고 비난하며 복당하지 않았다.

정의화 전 국회의장. [중앙포토]

정의화 전 국회의장. [중앙포토]

 정 전 의장은 '부패'의 의미에 대해 “(2016년 총선 이후) 박근혜라는 대통령의 권력을 믿은 것이다. 당내 친박 그룹 중에는 완장을 찬 그룹이 있었고, 완장을 벗은 그룹이 있었다. 나머지는 목소리를 제대로 못 내고 침묵하며 따라갔다”고 지적했다.

 또 보수 세력이 몰락한 원인으로는 “패거리 정치로 국민을 무시했다. 정치력 부재로 야당과 대화와 타협을 하지 못했다”며 “최순실 사태에서 드러났듯이 공권력을 사적으로 남용했다”고 했다.

 그는 “내가 대통령 출마를 해서는 절대로 안 되겠다고 생각한 이유도 바로 책임 때문”이라며 “박근혜 대통령 만들 때 부산 선대위원장직을 했기 때문에 어쨌든 나도 책임이 있다. 내가 정치를 떠난 게 다 그런 것 때문”이라고 밝혔다.

 또 보수 혁신 방안에 대해선 “바른정당과 자유한국당의 건전한 가치를 지닌 보수 정치인들이 함께해야 한다. 결국은 세력을 합쳐야 한다”며 “개헌을 통해서 제도적인 다당제를 만들 수 있게 되면, 여러 정당이 연정을 통해 안정적으로 나라를 이끌어 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추인영 기자  chu.inyo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