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주 수입 알바보다 적어 … 편의점 문 닫을 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1면

서울 마포구에서 편의점을 운영하는 박모(68)씨는 16일 아들 부부를 집으로 불렀다. 운영하는 편의점 폐업을 상의하기 위해서다. 5년 전 퇴직하면서 1억8000만원(보증금 1억원)을 들여 편의점(전용 59㎡, 약 18평)을 차렸지만 더는 운영이 버거워서다. 전날 발표된 내년 최저임금 인상안도 박씨의 마음을 움직였다. 현재 매출에서 본사 수수료(매출의 35%), 운영비(임대료 등)를 내고 5명의 아르바이트생에게 월급을 주고 나면 월 320만원 정도 남는다. 여기서 창업을 위해 은행에서 빌려 쓴 대출금 이자를 제하면 실제 박씨 몫은 290만원 정도다.

소상공인, 최저임금 인상 직격탄 #24시간 운영 많아 평균 5~6명 고용 #수익 중 인건비 비중 25 → 27%로 #실적 우려에 편의점 관련주 급락

당장 내년 1월 1일부터 아르바이트생 시급을 1060원 올려주면 박씨의 수익은 230만원대로 뚝 떨어진다. 대출이자를 제하면 200만원에 못 미친다. 평일 야간근무(월 20일, 하루 9시간)를 하는 아르바이트생의 월급(234만원)보다 적다.

박씨는 “이럴 바에야 마음 졸여가며 편의점을 운영할 이유가 없다”며 “지금도 하루 9시간씩 일하고 있는데 차라리 다른 편의점에서 아르바이트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2020년 최저임금 1만원’이 가시화하면서 편의점 등 작은 가게를 운영하는 소상공인이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15일 최저임금위원회가 내년 최저임금을 현재보다 16.4% 올린 7530원으로 확정하면서 늘어난 인건비 부담을 고스란히 떠안아야 하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최저임금에 못 미치는 시급을 받는 근로자의 68.2%가 소상공인·영세중소기업(10인 미만)에 근무한다. 도소매·음식·숙박업 등 소상공인이 포진한 주요 업종의 5인 미만 사업장에 44.6%가 몰려 있다.

특히 ‘안정적인 창업 아이템’으로 꼽히던 편의점 업계는 비상이다. 편의점은 현재 국내 프랜차이즈 중 가맹점이 가장 많다. 한국편의점산업협회에 따르면 국내 편의점 점포는 3만5000개가 넘는다. 24시간 운영하는 특성상 점포당 평균 5~6명의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하기 때문에 인건비 부담도 크다. 현재 18만 명 이상이 편의점에서 일하고 있다. 편의점 점포당 전체 수익(매출이익)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5% 수준이다. 내년부터는 이 비중이 27% 이상으로 커질 것으로 보인다. 내년 이후 문을 닫는 편의점이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올해 들어 편의점 점포당 매출이 늘어나지 않고 있는 데다 임대료 등 영업비 지출은 증가하고 있다. 여기에 인건비 부담까지 커지는 것이다.

[그래픽 이정권 기자 gaga@joongang.co.kr]

[그래픽 이정권 기자 gaga@joongang.co.kr]

남성현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2020년 최저임금이 1만원이 되면 편의점 점주의 수익은 현재의 반 토막이 된다”며 “점주들이 아르바이트생 월급보다 적은 수익을 노리고 편의점을 운영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주요 편의점 주가도 떨어지고 있다. 17일 GS리테일(GS25) 주가는 전날(14일) 대비 6.16% 하락했고, BGF리테일(CU)도 3.09% 떨어졌다. NH투자증권은 이날 편의점 관련 목표주가를 3000원 내렸다. 정부가 최저임금 인상분의 일부를 보전해 주기로 했는데도 편의점 업계의 어려움을 해소하기엔 역부족이라 본 것이다. 정부는 지난 5년간 평균 최저임금 인상률(7.4%)을 초과한 부분(9%)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지원을 해 주기로 했다. 예컨대 하루 9시간 20일 근무(평일 주간)하는 아르바이트생의 월급은 현재 139만원에서 내년 162만원으로 오른다. 인상된 23만원 중 정부가 12만6000원을 직접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이 경우 가게 주인은 10만4000원을 더 올려주면 된다.

하지만 정부의 인건비 보전에는 한계가 있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도 17일 “정부가 민간기업의 임금을 보전해 주는 방식을 영원히 가지고 갈 순 없다”고 말했다.

예산도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인건비 보전을 위한 예산 3조원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소상공인업계는 이번 최저임금 인상으로 소상공인이 부담해야 하는 고용 비용이 11조원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 정부가 인상분(16.4%) 중 추가 인상분(9%)을 보전하려면 6조원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최현주 기자 chj80@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