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 정국 속 ‘2(민주당ㆍ국민의당) 대 2(자유한국당ㆍ바른정당) 구도’로 재편되나

중앙일보

입력

김상곤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임명을 계기로 정국이 일단 ‘2(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 대 2(자유한국당·바른정당) 구도’가 됐다. 두 보수 야당이 강하게 반발하며 사실상 국회 보이콧에 들어간 반면, 국민의당은 ‘인사와 추경을 연계해 대응하지 않는다’는 당론에 따라 여당과 함께 국회 추경 심사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토교통위원회에서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 의원들이 불참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소속 의원들이 추가경정예산안을 심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토교통위원회에서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 의원들이 불참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소속 의원들이 추가경정예산안을 심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5일부터 본격화된 추경 심사는 ‘반쪽’으로 진행됐다. 추경안이 국회로 넘어온 지 28일 만인 이날 열린 국토교통위와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에선 민주당과 국민의당 의원들만 자리를 지켰다. 이날 오후 제1차 예결소위를 연 환경노동위에도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 의원들은 불참했다.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원내대표(가운데)가 5일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의 국회 추경 심의 보이콧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원내대표(가운데)가 5일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의 국회 추경 심의 보이콧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당 우원식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한국당·바른정당 등) 야당들이 김 장관 임명을 핑계로 국회를 올스톱시켜 일자리 추경과 정부조직 개편을 가로막고 있다”며 “국회는 자유한국당 의원들이 휘젓고 다니는 놀이터가 아니다. 바른정당은 언제까지 자유한국당에 끌려다닐지 개탄스럽다”고 비판했다. 이에 비해 국민의당은 자극하지 않으려는 모습이었다. 우 원내대표는 국민의당이 공무원 일자리를 추경으로 늘리는 데 반대하며 ‘대안 추경’을 제시한 데 대해 “충분히 논의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임명된 4일 바른정당 주호영 원내대표(가운데)가 "국방·외통·정보위를 제외한 모든 국회 일정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임명된 4일 바른정당 주호영 원내대표(가운데)가 "국방·외통·정보위를 제외한 모든 국회 일정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바른정당은 국민의당에 서운해했다. 국민의당이 김상곤 장관을 부적격으로 꼽으면서도 막판에 청문보고서를 채택하기로 입장을 정한 걸 두고서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의원·원외위원장 연석회의에서 “김 장관은 최악 중 최악이었다”며 “(국민의당이) 인사청문 보고서 채택 회의에 참여해 사실상 임명된 빌미를 만들어줬다”고 했다. 이어 “짐작건대 김 장관이 국민의당 의원이 많은 그 지역(호남) 출신이어서 그런 것 아니냐”고 꼬집었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는 “이 정부 들어와 야당과 국민이 부적절하다고 교체를 요구한 국무위원이나 장관급에 대해 세 사람째(김상곤·강경화·김상조) 임명을 강행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안보와 관련된 국방위·정보위·외교통일위를 제외한 상임위 활동 불참을 선언한 전날의 의원총회 결정과 보조를 맞추겠다는 뜻으로 해석됐다.

보수 야당 반발 속 김상곤 임명 계기…자유한국당ㆍ바른정당 “추경 심의 보이콧” #국민의당은 ‘인사ㆍ추경 분리 대응’ 당론 따라 국회 추경 심의 합류 #민주당 “국회는 자유한국당 놀이터 아니다…바른정당도 언제까지 끌려다닐지” #민주당ㆍ국민의당 ‘공조 전선’ 가능할지 미지수…조대엽ㆍ송영무 임명 여부 최대 변수

김상곤 장관 임명 여파가 민주당·국민의당 대 자유한국당·바른정당의 대립 구도를 빚어낸 셈이지만, 이 같은 구도가 얼마나 지속될 지는 미지수다. 민주당은 7월 임시국회 마지막 본회의가 잡힌 18일까지는 추경안을 통과시킨다는 목표다.
하지만 송영무(국방부)·조대엽(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가 중요 변수다. 자유한국당·바른정당은 물론 국민의당도 부적격 인사로 판단한 두 후보자의 임명이 강행된다면 국민의당마저 등을 돌릴 가능성이 있어서다. 국민의당 김동철 원내대표 측 인사는 “문재인 대통령이 해외순방 이후 귀국해 조·송 후보자를 임명한다면 국민의당도 ‘인사-추경 분리 대응’ 기조를 끝까지 지키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김형구 기자 kim.hyoungg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