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해녀들이 바닷속 단체 카톡하는 시대 오나'…SKT, 해저 무선 LTE 통신 '성공'

중앙일보

입력

SK텔레콤과 호서대 연구팀이 30일 인천 남항 부두에서 10㎞ 떨어진 서해상에서 바닷속 통신 실험을 위해 음파수신기를 바다 밑으로 내리고 있다. [사진 SK텔레콤]

SK텔레콤과 호서대 연구팀이 30일 인천 남항 부두에서 10㎞ 떨어진 서해상에서 바닷속 통신 실험을 위해 음파수신기를 바다 밑으로 내리고 있다. [사진 SK텔레콤]

인천 남항 부두에서 10㎞ 떨어진 서해 바다. 지하 9층 깊이(25m) 해저에 무선 통신 기지국을 빠뜨리고 800m 떨어진 또 다른 해저 기지국으로 문자메시지를 보냈다. 첫 번째 메시지는 'Hello Press!'. 20초 뒤 'I am hungry!'란 문자와 잠수함이 찍힌 사진도 전송했다. 서해는 부유물이 많아 통신하기엔 적합하지 않지만 문자메시지와 사진은 별 탈 없이 전송됐다.

SKT·호서대 "전파 대신 음파 활용…무선 기지국 수중망 개발은 세계 최초" #2021년까지 서해에 수중망 연구 테스트베드 구축…"잠수함·지진 탐지" #"천문학적 비용" 실효성은 '논란'…SKT "필요한 곳만 설치하면 광케이블보다 저렴"

전복을 캐던 해녀들이 바다 밑에서 단체 카카오톡을 할 수 있는 시대가 상상으로만 그치진 않을 전망이다. SK텔레콤과 호서대 연구진은 바닷속 LTE(롱텀에볼루션) 통신 시험에 성공했다고 31일 발표했다. 해저 광케이블을 활용한 수중 통신은 기존에도 있었지만, 광케이블 없이 수중 무선 기지국만으로 해저 통신 기술을 개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일상적으로 쓰는 스마트폰 무선 통신은 공기 중으로 이동하는 전파에 문자메시지와 데이터를 실어 정보를 송수신한다. 그러나 바다 밑에선 전파가 터지지 않기 때문에 3~70㎑ 대역의 음파를 사용한 것이 이번 SKT 수중 통신망의 특징이다. 돌고래들이 초음파를 활용해 의사소통하는 것처럼 음파에 문자와 데이터 신호를 실어 기지국 간 통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바다 밑에 수온과 염도·조류속도 등을 측정하는 센서를 설치하면 적 잠수함 출몰이나 적조·해저 지진 경보 신호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적 잠수함이 지나가거나 해저 지진이 발생할 때 측정된 온도와 조류 속도 변화를 수중 센서가 감지하고 이 센서가 수중 기지국으로 정보를 보낸 뒤 해상 통신 부표를 통해 육지로 전달되는 것이다.
고학림 호서대 해양IT융합기술연구소 교수는 "수중 통신 기술은 해양 안전 분야는 물론 국방, 레저 분야 등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해저 수십미터에서도 방수 기능을 갖춘 단말기가 개발되면 해녀나 잠수부들도 바닷속 통신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물 속에서 문자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는 것은 시험을 통해 실증됐다"며 "해녀나 잠수부들이 이용할 수 있는 수중 통신 단말기가 개발되면 수중에서 촬영한 사진이나 영상을 곧바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과 호서대 연구진은 기지국 기반 수중 통신망 연구를 위해 올해 10월쯤 서해안 테스트베드 구축에 착수해 2021년에 완료할 계획이다.

해저 통신 기술 개발은 유럽과 북미 등에서도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유럽은 유·무선 방식을 혼합해 수중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지원하는 썬라이즈(SUNRISE) 프로젝트는 진행하고 있고 캐나다도 유선망을 기반으로 한 오션 네트웍스 캐나다(Ocean Networks Canada) 사업을 펼치고 있다.

하지만 삼면이 바다인 한반도 환경에서 수중 기지국 구축에 천문학적인 비용이 소요돼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주장도 있다. 지상의 경우 서울 강남역은 100m 마다, 지방은 1~2㎞ 마다 기지국을 설치야 하는데 이런 분포대로 기지국을 설치한다면 수백~수천조원의 비용이 발생할 것이란 분석이다.

이에 대해 SK텔레콤은 잠수함이 출몰할 수 있는 북한 접경 지역이나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 해녀가 많은 제주도 지역 등 필요한 지역을 선별해 수중 기지국을 설치하면 생각보다 많은 비용이 들지 않을 수 있다고 반박한다.
박지웅 SK텔레콤 매니저는 "반경 15㎞ 이내의 센서나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수중 무선 기지국은 필요한 지역에 한해 구축하는 것이기 때문에 수십~수백㎞의 광케이블을 매설하는 것보다 비용이 적게 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도년 기자 kim.don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