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北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계속 업그레이드"

중앙일보

입력

북한의 고래급 잠수함 1대가 복수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발사 능력을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유엔 보고서가 나왔다. 북한의 SLBM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유엔보고서, 北 고래급 잠수함 중대한 변형 발견 #SLMB 1발 발사→여러 발 발사 가능성 #안보리, 북한 관련 성명에서 제재 첫 직접 언급

미국의 군사전문 언론매체 ‘워싱턴 프리 비컨’은 20일(현지시간) 휴즈 그리피스 조정관이 이끄는 유엔 전문가 패널 보고서를 인용해 “북한의 SLBM인 북극성(KN-11)을 발사하는 고래급 잠수함의 외형을 연구한 결과 SLBM 발사대에서 중대한 기술적 변형이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수중 시험발사 장면. [사진 노동신문]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수중 시험발사 장면. [사진 노동신문]

보고서는 “고래급 잠수함이 최근 발사관 양쪽에 통풍구를 추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향후 여러 개 발사관을 지닌 SLBM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변화”라고 전했다. 과거 고래급 잠수함은 발사대를 하나만 보유하고 있었다.

보고서는 “SLBM을 개발하는 신포 조선소가 복수의 SLBM을 적재할 수 있는 큰 규모의 잠수함을 건조할 만큼 확장된 것도 눈길을 끈다”며 “향후 SLBM의 장전 및 하역 시설로 사용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북한은 지난해 SLBM 발사 실험을 총 5차례 실시했다. 특히 지난해 8월엔 미사일 비행거리를 4개월 만에 30㎞에서 500㎞로 15배나 늘렸다.

보고서는 이와 관련 “8월 실험은 전례 없는 북한의 SLBM 능력을 보여줬다”며 “KN-11의 연료가 액체에서 고체로 바뀐 것은 안정성을 키우고 발사 준비기간을 짧게 하면서 더 많은 연료를 실을 수 있는 기술적 발전”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유엔 회원국들은 재래식 탄두와 핵탄두를 만드는 데 재료로 사용될 수 있는 품목을 북한에 수출하지 말아야 한다”고 권고했다.

한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는 20일 북한의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지난 16일)를 강력히 규탄하고 추가 도발이 있을 경우 제재를 가하겠다는 성명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안보리가 북한에 대한 성명에서 제재를 직접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안보리는 “우리는 최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강력히 규탄한다”며 “북한의 불법 미사일 활동은 핵무기 운반체계 개발에 기여하며 해당 지역과 국제사회의 긴장을 심각하게 고조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CNN 방송에 출연해 인터뷰 중인 니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 대사(왼쪽).

미국 CNN 방송에 출연해 인터뷰 중인 니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 대사(왼쪽).

니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이날 성명에 대해 “안보리에서 북한의 무기 실험을 반기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며 “제재나 다른 조치를 검토해야 한다면 그렇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보리는 지난 16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후 이에 대한 규탄 성명을 준비해왔으나 러시아의 반발로 발표가 지연됐다. 영국 가디언지는 러시아가 이번 성명에서 과거 통상적으로 들어가던 ‘대화를 통한 해결’ 내용이 빠진 것을 문제 삼았으며, 미국 측이 이를 받아들여 이번 성명에 포함시켰다고 보도했다.

백민정ㆍ이기준 기자 foridealis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