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담하고 나흘 만에 다시 통화, 트럼프 "아주 유익한 대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12일 오전 전화통화를 했다. 미 플로리다주 마라라고 휴양지에서 얼굴을 맞대고 첫 정상회담을 한 지 나흘 만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북한의 위협(menace)과 관련 시 주석과 아주 유익한 통화를 했다”고 밝혔다. 그만큼 한반도 정세가 심상치 않다는 인식을 두 정상이 같이하고 있다는 뜻이다.

중국 대변인 "한반도 관련 심도 있는 대화" #미국의 대북 군사행동 가능성에 견제 나선 듯 #백악관 "도발하면 시리아 때처럼 단호한 행동"

우선 두 정상이 통화를 하며 긴밀하게 소통하고 있음을 과시한 것 자체가 북한에 대해서는 강력한 경고의 메시지가 된다. 미ㆍ중이 긴밀히 소통하며 주시하고 있으니 추가 도발 시도를 멈추라는 압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제를 풀어가는 방식에선 여전히 입장 차이가 읽힌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일  “독자 행동도 불사하겠다”고 경고하고 있지만 중국은 북한의 추가 도발뿐 아니라 미국의 군사행동과 선제타격 가능성에 대해서도 강한 우려를 숨기지 않고 있다.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이날 통화는 트럼프 대통령의 요청으로 시 주석이 전화를 걸어 이뤄졌다. 중국 외교부의 루캉(陸慷)대변인은 ‘누가 먼저 전화했냐’는 질문에 “시 주석이 (전화 통화를 하자는)트럼프의 제의에 응한 것이며 중요한 건 형식이 아니다“고 답했다. 루 대변인은 “심도 있는 논의를 했다”고 밝혀 단순한 인사치레 차원의 통화가 아니라 전화회담 수준의 대화가 있었음을 시사했다.

중국 관영 중앙방송(CC-TV)에 따르면 시 주석은 “한반도 비핵화 실현과 한반도 평화ㆍ안정 유지를 견지하는 한편 평화적인 방법으로의 문제 해결을 원한다”며 “미국과 한반도 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협조해 나가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평화적 방법’을 강조한 데서 미국의 군사행동 선택을 견제하려는 의도가 읽힌다.

루 대변인의 발언도 비슷했다. 그는 “시 주석이 ^한반도 비핵화 목표 실현 ^한반도 평화 안정 유지 ^평화적 방식을 통해 문제 해결이란 입장을 견지한다는 점을 강조했다”며 “이는 미국도 잘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역시 방점은 평화적 방식에 있다. 루 대변인은 또 “미국이 북한의 정권 교체를 목표로 삼고 있지 않음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그의 답변은 “(전화 통화를 통해) 중국의 입장에 변화가 있거나 새로운 제안을 했나”라는 미국 매체의 질문에 대한 답변에 “입장 변화가 없다”는 점을 강조하며 나온 것이다. 두 정상이 정상회담과 전화통화를 통해 군사적 옵션을 비롯한 초강력 대북 접근방식에 합의한 것 아니냐는 관측을 일축한 셈이다. 베이징의 외교소식통은 “시 주석이 북한에 대한 경고 메시지와 함께 미국의 항공모함인 칼빈슨함의 항로 변경에 대해서도 동시에 우려를 표시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날 통화는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밤 트위터를 통해 “중국이 나서지 않으면 독자적 행동을 취할 수밖에 없다”고 밝힌 데 대한 시 주석의 답변인 셈이다. 11일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이 한 행사장에서 마주친 외신기자들에게 작심한 듯 “긴장을 고조시키는 어떤 행위에 대해서도 찬성할 수 없다”고 밝힌 것도 같은 맥락이다.

반면 트럼프 행정부는 이날도 중국ㆍ북한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다. 핵 잠수함 한반도 배치 가능성까지 시사했다. 트럼프는 12일(현지시간) 아침 폭스비즈니스TV와의 인터뷰에서 “그(김정은)는 큰 실수를 하고 있다”며 “우리는 매우 강력한 함대(Armada)를 (한반도 해역에) 보내고 있으며 항공모함(칼빈슨함)보다 훨씬 더 강력한 잠수함들을 보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경우에 따라선 미국의 대표적 전략무기로 광범위한 파괴력을 갖춘 콜럼버스함(SSN762)과 같은 핵추진 잠수함을 한반도 인근에 배치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앞서 숀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은 11일 브리핑에서 트럼프가 이날 오전 트위터에 올린 “중국이 돕지 않으면 미국이 (북한 문제를) 독자 해결할 것”이라고 말한 의미에 대해 “그(트럼프)가 지난주 시리아에 보여준 것처럼 미국의 입장을 명확히 내보이기 위해 단호하고 (북한의 도발에) 비례적인(proportional) 행동을 할 것이란 뜻”이라고 풀이했다.

스파이서 대변인은 또 “트럼프 대통령은 밖에다 미리 자신의 대응이 무엇인지 알리는 그런 사람이 아니며 그는 지금 자신의 카드를 조끼 속에 감추고 있다”고도 말했다. 백악관 대변인 발언치고는 매우 직설적이다. 북한이 또다시 도발하면 시리아에 했던 것처럼 즉각적인 군사적 행동으로 맞대응할 것을 강하게 시사한 것이다.
베이징ㆍ워싱턴=예영준ㆍ김현기 특파원 yyjue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