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터후이’ 배석자 업그레이드 … 시진핑 2기 미리 선보였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미·중 정상회담이 열린 7일(현지시간) 양국의 퍼스트레이디들도 함께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부인 멜라니아 여사(가운데)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부인 펑리위안 여사(오른쪽)가 플로리다주 웨스트팜비치에 있는 한 학교를 방문해 학생들에게 미술작품을 선물로 받고 있다. [팜비치 AP=뉴시스]

미·중 정상회담이 열린 7일(현지시간) 양국의 퍼스트레이디들도 함께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부인 멜라니아 여사(가운데)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부인 펑리위안 여사(오른쪽)가 플로리다주 웨스트팜비치에 있는 한 학교를 방문해 학생들에게 미술작품을 선물로 받고 있다. [팜비치 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지난 8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전화를 걸어왔다. 6~7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리조트 마라라고에서 열린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담을 공동선언문도 없이 끝낸 뒤다. 트럼프 대통령은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배치 문제에 대해 시 주석에게 알아들을 수 있도록 분명히 이야기했다”고 말했다고 한다. 9일 정부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은 ‘북핵 문제에 대해 우리가 중국에 기대하는 바를 충분히 이해시켰다’며 이같이 강조했다”고 말했다. 외교부가 “북핵 문제와 한·미 동맹에 대해 포괄적으로 심도 있게 논의가 이뤄진 성공적인 회담”이라고 이번 미·중 회담을 평가하는 이유다. 반면 중국 외교부는 “시 주석이 사드 반대 입장을 밝혔다”고 공개해 두 정상이 평행선을 달린 게 확인됐다.

왕양 부총리, 팡펑후이 참모장 눈길 #트럼프, 회담 뒤 황교안과 20분 통화 #“시진핑에게 사드 알아듣게 얘기” #중국 “시주석, 사드 반대 입장 밝혀”

천영우 한반도미래포럼 이사장은 이날 통화에서 “트럼프가 하고 싶은 얘기는 다 했고 자신의 의중을 시 주석이 오해하지 않게 명확하게 전달한 것으로 보인다”며 “북핵 문제와 사드 배치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였고 이에 대한 중국의 반응을 지켜보겠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황 권한대행과 20여 분간 통화한 트럼프 대통령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는 9일 오전 약 45분간 통화했다. 북핵 문제와 시리아가 주제였다. 통화 뒤 아베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동맹국과 세계 평화·안전을 위해 강력히 전념(commitment)하는 것을 높게 평가한다’고 전했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과 관련) 중국의 대응을 매우 주목하고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며 “미·일, 또 한·미·일 3국이 결속해 대응하는 게 중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시터후이’(習特會·시진핑-트럼프 회담을 부르는 중국의 명칭) 중국 측 배석자 배치를 통해 19차 공산당 대표자대회 이후 시진핑 2기 권력구도를 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회담은 2015년 9월 22일부터 25일까지 열렸던 시 주석의 미국 국빈 방문과 비교해 일정은 줄었지만 배석자 진용은 업그레이드됐다.

당시 수행 인원 가운데 왕후닝(王寧) 중앙정책연구실 주임, 리잔수(栗戰書) 중앙판공청 주임, 양제츠(楊潔?) 국무위원은 부국급(副國級·중국의 50여 명의 준국가수반급 고위 정치인), 왕이(王毅) 외교부장, 쉬사오스(徐紹史)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 주임, 가오후청(高虎城) 상무부장 등은 장관급이었다. 여기에 차관급인 추이톈카이(崔天凱) 주미 대사와 국장급인 친강(秦剛) 외교부 예빈사(의전국)장이 수행했다.

이번 정상회담은 9차 당대회를 앞두고 중국 고위 인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열렸다. 우선 발개위 주임이 쉬사오스에서 허리펑(何立峰)으로, 상무부장은 중산(鍾山)으로 바뀌었다. 여기에 무엇보다 눈에 띄는 두 인물은 왕양(汪洋) 국무원 부총리와 팡펑후이(房峰輝) 중앙군사위원회 연합참모부 참모장이다. 수행단의 급을 한 단계 올린 것은 그만큼 시 주석이 이번 시터후이를 전임 오바마 대통령과의 회담보다 중시했다는 방증이다.

베이징=신경진 특파원, 차세현 기자 cha.sehye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