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임신·제왕절개 산모, 유방암 위험 최대 2.8배↑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김진구 기자]

고령분만 및 제왕절개 산모가 늘어나는 가운데 이들의 출산 후 유방암 발병 위험이 최대 2.8배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고대구로병원 종양내과 강은주 교수와 산부인과 조금준 교수팀은 고령분만과 제왕절개 분만이 산후 유방암 발병의 중요한 위험 인자로 작용한다는 연구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35세 이상 고령 산모의 유방암 발병 위험이 그렇지 않은 산모에 비해 2배 이상 높았으며, 제왕절개 산모 역시 발병 위험이 약 1.2배 높다.


유방암은 매년 발병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발병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지금까지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과 연령, 출산 경험, 수유 기간, 음주, 가족력 등이 원인으로 지목됐을 뿐 정확한 관련성은 규명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 산모의 나이와 출산 방법이 상후 유방암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다만, 산후 유방암의 원인으로 지목됐던 임신중독증, 임신성 당뇨증, 쌍둥이 출산은 이번 연구에서 유방암 발병과 큰 연관이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


연구팀은 2010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출산자 138만4551명을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1년 내 유방암이 발병한 환자는 총 317명이었으며, 35세 이상의 산모는 35세 미만 산모보다 유방암 발병 위험이 2배 높았다. 제왕절개는 1.2배 높았다.


출산 3년 후 유방암 발병 역시 35세 이상이거나 제왕절개를 한 경우 각각 2.8배, 1.2배 높게 파악됐다.

강은주 교수는 “정확한 매커니즘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많은 위험 요인들 중에 산모의 나이와 출산 방법이 유방암 발병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며 “앞으로 산후 유방암 조기 발견과 예방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조금준 교수는 “일반적으로 산후 유방암은 흔하게 발견되는 산후 악성 종양”이라며 “유방암 중에서도 예후가 특히 좋지 않은데다 조기 발견마저 어렵다”며 “이번 연구가 많은 산모의 건강을 관리하는 데 있어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고 말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