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경선 D-1, 안철수 '압도적 승리' 손학규ㆍ박주선 '막판 뒤집기'

중앙일보

입력

국민의당 대선후보 경선은 개막전이 곧 결승전이다. 당 순회 경선 첫 일정인 25일 광주ㆍ전남ㆍ제주 현장투표와 26일 전북 현장투표의 승자가 최종승자가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안철수 후보가 지지율에서 앞서가는 가운데 손학규 후보와 박주선 후보가 뒤집기를 시도하고 있다. 경선의 변수는 ‘조직’이다.  

안철수, 기선제압하고 본선준비 #손학규, 끈끈한 조직으로 뒤집기 #박주선, 광주 유일 현역 프리미엄 #당에서는 사고날까, 조마조마

국민의당 대선주자들이 22일 오후 대선후보 경선토론회 시작 전 손을 맞잡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국민의당 대선주자들이 22일 오후 대선후보 경선토론회 시작 전 손을 맞잡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①안철수, 호남 경선서 압승할까=여론조사 등 각종 지표만 봤을 때 가장 앞서있는 건 단연 안 후보다. 한국갤럽이 24일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안 후보의 호남 지역 지지율은 17%로 국민의당 후보 중 가장 높은 지지를 받았다(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안 후보 측 관계자는 “본선경쟁력 등을 고려했을 때 국민의당 지지자들은 안 후보를 뽑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다른 후보들이 아무리 조직을 동원한다 해도 바닥 민심을 이길 수 없다”고 말했다.

안 후보 측의 과제는 득표율 60% 이상의 압승이다. 호남 경선에서 큰 표차로 이겨야만 부담 없이 본선 준비에 매진할 수 있다. 안 후보는 이를 위해 21일부터 호남 방문을 부쩍 늘리는 등 경선 준비에 총력을 기울였다. 안 후보는 "당원과 국민께서 누가 승리할 후보인지, 누가 대한민국의 개혁과 통합을 이루고 미래를 준비할 후보인지 선택해 주실 것”이라며 “압도적 승리로 국민의당 대선 승리를 이끌겠다”고 밝혔다. 안 후보 측 관계자는 “문재인 대 안철수 양자대결로 이번 선거를 준비해온 만큼 빨리 본선 무대에 올라 몸을 풀고 있는 게 우리로서는 유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②손학규ㆍ박주선 ‘조직’ 통할까=국민의당 경선은 사전선거인단 없이 치르는 현장투표 방식이다. 모바일투표 등 다른 참여수단도 없다. 현장투표소도 광주ㆍ전남 전역에 총 28곳만 설치된다. 선거 참여의 문턱이 높다. 광주ㆍ전남 경선에 참여하는 유권자 수는 5만 명 정도로 예측된다. 참여인원이 적고, 참여 문턱이 높을수록 조직의 힘에 의해 좌우될 가능성이 큰 게 당내 경선이다. 이같은 이유 때문에 손 후보와 박 후보는 막판 역전을 꿈꾸고 있다. 두 후보 모두 호남 지역에 탄탄한 조직 기반을 갖고 있다.

손 후보의 경우 2007년, 2012년 대선 경선 때부터 함께 해온 충성도 높은 끈끈한 조직이 장점이다. 손 후보 측의 팬클럽 등일 '손바람 5인조' 운동 등 경선 참여를 독려하는 운동을 벌이고 있다. 손 후보도 광주에 베이스캠프를 차리는 등 호남 민심 잡기에 총력전을 벌여왔다. 손 후보 측 관계자는 "안 후보와 우리 측의 접전을 벌일 것"이라며 "여론조사와 달리 현장 분위기는 우리측에 점점 유리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박 후보는 광주에 지역구를 둔 4선 현역 의원이다. 지역 내 기반이 탄탄할 수밖에 없다. 광주ㆍ전남을 중심으로 창당했던 통합신당은 3만 명 정도가 당원으로 참여했다. 박 후보 측 관계자는 “현장투표에서 50% 이상 득표를 자신한다”며 “깜짝 놀랄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③현장 경선, 무사히 끝날까=사전선거인단 없는 현장투표는 정당에서 최초로 시행하는 경선 방법이다. 사전선거인단을 꾸리지 않기 때문에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지원도 없다. 당 차원에서 중복투표 방지 시스템을 만들었지만 대리투표 등을 걸러낼 방법이 마땅치 않다. 당 김광수 선관위 부위원장은 22일 경선관리 시연식을 하며 “제도적으로는 법적 처벌규정이 있지만 나쁜 의도를 갖고 오는 분들에 대해선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당내 경선이 과열되며 버스나 승용차로 유권자를 동원하는 ‘버스떼기’도 우려된다. 교통 편의 제공 등은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이어질 소지도 크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경선 과정에서 사고날 경우 당은 물론 안철수 새정치 이미지도 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경선 관리에 비상이 걸렸지만 뾰족한 대책도 없다. 각 후보 측의 ‘신사협정’과 유권자들의 선의에 맡길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박지원 대표는 이날 오전 최고위에서 “국민도 많은 협력을 해서 국민의당이 처음 가보는 길, 국민에 의해서 정당의 대통령 후보가 선출되는 길이 합법적이고 안전하게 갈 수 있도록 노력해줄 것을 거듭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