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mily건강] "항산화 비타민, 폐암 환자에겐 해로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폐암은 한국인의 생명을 가장 많이 빼앗는 암이다. 2004년엔 1만3000여 명이 폐암으로 숨졌다. 최근 미국 하버드대 의대 부속병원인 매사추세츠 제너럴 병원(MGH)에서 33년째 암 전문의로 활동 중인 최찬혁(69.사진) 교수가 강남성심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개설 기념 국제 심포지엄에 참석하기 위해 내한했다. 그에게 폐암의 최신 치료법을 들어봤다.

-폐암은 일찍 찾아내기가 힘든 암이다. 미국에선 조기 진단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나?

"40대 이상 장기 흡연자에게 1년에 한 번 저선량 CT검사를 받도록 권장한다. 1기에 발견되면 대부분 수술로 치료하며, 완치율(5년 생존율)은 80% 이상이다."

-암이 림프선에 전이된 2기 환자는 수술만으로 치료할 수 있는가?

"림프선에 암이 퍼졌다면 다른 부위에도 전이됐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2기 때는 수술과 항암제(시스플라틴.택솔 등) 치료를 함께 받는 것이 안전하다."

-암이 폐 밖으로 퍼진 3기 환자에게 권할만한 치료법은.

"3기는 다시 초기와 후기로 나뉜다. 초기라면 수술이 가능하다. 방사선과 항암제 치료로 암 크기를 미리 줄여 놓은 뒤 수술하기도 한다. 후기라면 방사선과 항암제 치료가 기본이다. 이때도 수술을 원하는 환자가 적지 않다. 수술 효과에 대해선 의사마다 의견이 다르다. 그러나 굳이 수술받을 필요가 없다는 것이 의료계의 중론이다. 수술해도 완치율이 특별히 더 높아지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3기의 평균 완치율은 25% 내외인데 이를 40~45%로 끌어올릴 방법이 있다는데….

"폐는 숨을 쉬는 동안 2~5㎝나 움직인다. 기존의 방사선 치료로는 이런 움직임을 따라잡을 수 없었다. 그래서 실제 암덩어리보다 넓게 방사선을 쏘았고, 이로 인해 주변의 건강한 조직까지 방사선 피해를 보았다. 정상인 폐 조직이 방사선 치료 범위에 포함돼 있다 보니 방사선을 충분히 쏘아주기 어려웠다. 이 문제를 해결해준 것이 호흡 연동 방사선 기기다. '과녁(폐)'을 고정하고 방사선을 쪼여주면 완치율을 높일 수 있다. 유방암.전립선암.간암.췌장암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미국에도 10대가 채 설치되지 않았다. 한국엔 강남성심병원.서울아산병원에 있다."

-항산화 물질은 '건강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폐암 환자는 항산화 물질을 멀리 해야 한다는 말이 있다.

"그렇다. 폐암 치료를 받을 때는 비타민 C.E 등 항산화 비타민을 섭취해선 안 된다. 항암제와 방사선은 일종의 자유 래디컬이다. 자유 래디컬이 암세포와 작용해 암을 죽인다. 항산화 비타민을 복용하면 항암제와 방사선 효과를 반감시킨다."

박태균 식품의약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