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점검]사드 배치, 여야 대선주자 입장은...문재인,이재명 반대

중앙일보

입력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ㆍ사드)체계 배치를 앞두고 여야 대선주자들의 입장도 주목을 받고 있다. 

문재인 "다음 정부로 넘겨야", 이재명 "사드 배치 도움 안돼" #안희정,안철수는 "국가 간 합의 존중" #유승민 "2~3개 포대 더 배치해야"

6일 오후 오산 미군공군 기지에 대형수송기 편으로 사드체계 일부가 도착하고 있다. [사진 주한미군]

6일 오후 오산 미군공군 기지에 대형수송기 편으로 사드체계 일부가 도착하고 있다. [사진 주한미군]

3일 더불어민주당이 처음으로 얼굴을 맞대고 벌인 합동토론회에서는 사드 문제에 대한 후보들 간이 입장이 뚜렷이 갈렸다. 문재인 전 대표는 “다음 정부로 넘겨서 국회 비준절차와 외교적 노력을 더해서 합리적 결정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재명 성남시장은 한 발 더 나아가 “사드는 한국 안보에 도움이 되지 않고 경제ㆍ안보상으로 명백하게 피해만 입힌다”며 “잘못됐다면 힘들어도 길을 만들어가는 게 국가지도자의 역할이다. 사드는 원천적으로 되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안희정 충남지사는 “박근혜 대통령과 여당의 미숙함으로 곤란한 처지에 빠져버렸다”면서도 “ 안보를 한ㆍ미 연합작전과 동맹에 기초해야 한다”고 말해 ‘양국 정부 간 협의를 존중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도 3일 중앙일보 논설위원실 페이스북 라이브에 출연해 사드 문제와 관련 “국가 간의 합의사항은 다음 정부에서 존중할 수밖에 없다”며 “사드는 국가 간 합의한 것으로 정권 간에 합의한 게 아니다”고 말했다. 안 전 대표는 사드 해법에 대해서는 “중국이 대북 제재에 적극적으로 동참해 북핵 문제가 실마리가 풀리면 미국 정부에 사드 철회를 요청할 수 있다고 설득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 대선 주자들은 안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한·미 간 합의사항의 이행을 적극 주장하고 있다.

바른정당 대선주자인 유승민 의원은 더 나아가 “사드체계 2~3개 포대를 국방 예산으로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달 15일 ‘김정남 피살사건’으로 개최된 당 긴급 최고위원회에서다. 그는 “경북 성주에 배치될 사드 1개 포대로는 서울ㆍ인천ㆍ경기 등 수도권은 보호가 안된다”면서 “국방부가 한국형 미사일방어(KAMD) 자체 연구개발은 계속하되 사드 2~3개 포대를 국방 예산으로 도입해야 한다. KAMD 예산을 사드 자체구입 예산으로 돌리면 충분히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바른정당 대선주자인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지난 4일 “문재인 후보 빼고 모두가 사드배치에 찬성한다. 문재인 후보만 사드 배치에 찬성하면 국론이 하나 된 우리를 중국도 딴지를 못 건다”고 주장했다.

자유한국당 대선 주자인 원유철 의원은 중국의 사드 배치 보복에 항의하는 1인 시위를 롯데마트와 명동 거리 등에서 이어가고 있다.

박유미 기자 yumip@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