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서강대 남양주캠퍼스 조성사업 추진 7년 만에 무산

중앙일보

입력

2010년부터 추진된 서강대 남양주캠퍼스 조성 사업이 7년 만에 무산됐다.

경기도 남양주시는 “서강대 측이 시와 체결한 협약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아 지난 3일 서강대 측에 우편으로 캠퍼스 건립 협약 해지를 통보했다”고 6일 밝혔다.

시 관계자는 “서강대 측의 대학 이전 신청 보류는 협약 해지 요건에 해당하기에 취한 조치”라며 “양 측이 맺은 협약은 법적 효력이 있는 것이었던 만큼 사업 지연에 따른 손해배상 등 법적 책임을 서강대 측에 물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앞서 서강대 측은 남양주시·남양주도시공사와의 협약에 따라 지난해 10월 교육부에 대학 이전 승인을 신청했어야 했지만 이 약속을 이행하지 않았다. 또 캠퍼스가 들어설 양정역세권 개발사업의 이익금 가운데 500억원을 대학에 재투자하는 내용을 포함해 재협약하자고 제안하면서 교육부 신청을 보류해왔다.

시는 이에 따라 지난해 10월 서강대 측의 재협상 제안을 거부하고 90일 이내에 절차를 이행하라고 통보했고 반응이 나오지 않자 이번에 협약해지를 통보했다.

시와 서강대 등은 캠퍼스 건립과 관련해 2010년 2월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데 이어 2013년 7월 법적 효력이 있는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상 서강대는 올해 14만2000㎡에 학생·교직원 2200명 수용 규모의 캠퍼스를 우선 조성하는 등 3단계로 나눠 대학을 확장해야 한다.

서강대 캠퍼스 건립이 무산됨에 따라 양정역세권 개발사업도 차질이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시는 당초 양정동 일대 176만1000㎡에 주거·상업·교육·문화·R&D 등 자족기능을 갖춘 교육연구복합도시 건설을 계획했다. 하지만 국토교통부가 사업 부지의 대부분인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 해제 조건의 하나로 서강대 캠퍼스 건립을 꼽았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서강대 측의 교육부 신청을 기다리는 것보다 양정역세권 개발 계획을 변경하는 것이 더 빠를 수 있다고 판단했다”며 “조만간 국토부와 협의해 양정역세권 개발 계획을 변경하는 한편 새로운 대학이나 종합 의료시설 유치를 검토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남양주=전익진 기자 ijje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