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급할 땐 1397…서민금융진흥원 전국 33곳서 저신용·저소득자 위한 대출상품 알려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8면

서민금융진흥원과 신용회복위원회,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자금난에 빠진 서민에 대한 지원사업을 공동 진행한다. 중심이 되는 기관은 서민금융진흥원이다. 전국에 33개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를 설치해 소액대출, 보증, 채무조정, 일자리 지원 등 다양한 지원사업을 한다.

현재 내 소득과 신용 기준에서 받을 수 있는 지원책이 궁금하다면 직접 찾아가 상담 및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방문이 어려운 서민들을 위해 서민금융통합콜센터(국번 없이 1397)도 운영한다. 평일 오전 9시~오후 6시를 이용해 상담이 가능하다. 자금난에 빠진 저신용·저소득자들이 조건에 맞는 정책금융 상품을 찾아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게 진흥원의 주임무다.

실제로 그동안 서민 자활을 돕기 위한 다양한 정책금융 상품이 나왔지만 막상 이런 상품이 필요한 사람들은 복잡한 상품정보를 제대로 알고 찾아보기 어렵다는 지적이 많았다. 금융당국이 2015년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정책성 서민금융상품을 이용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응답자의 61%가 ‘존재를 몰라서’, ‘적합한 상품을 몰라서’라고 답했다. 정보가 부족한 서민들이 비교적 접근이 쉬운 고금리 대부업이나 사채 시장으로 흘러가 더 큰 경제적 불안에 빠지는 경우가 빈번한 이유다. 제대로 된 정보가 부족한 서민들을 상대로 정책금융을 사칭한 고금리 사설 대출상품이 기승을 부리기도 했다. 피해를 입은 서민들은 금감원 신고나 형사고발 등을 통해 구제를 받아야 했지만 이마저도 오랜 시간이 걸려 이중, 삼중고를 겪는 경우가 많았다.

정부는 앞으로 서민금융 지원책을 통합 재정비, 확대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위기에 빠진 가계를 회생시키는 것이 가장 시급한 국가경제 과제 중 하나라는 인식에서다. 출범 넉 달째를 맞은 서민금융진흥원은 현재 조직 정비를 마치고 및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 등을 진행 중이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지난해 11월 ‘서민 취약계층지원 분야 간담회’에서 “정부가 가장 잘하고 싶고 발전시키고 싶은 분야가 바로 서민 취약계층 지원”이라고 말했다.

심새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