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특검, 오늘 김종 불러 ‘문화계 블랙리스트’ 수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박영수(64) 특별검사팀이 박근혜 정부의 ‘문화계 블랙리스트’ 의혹에 대한 수사에 나선다. 이는 검찰 특별수사본부 수사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영역이다. 특검팀 관계자는 23일 “반정부 성향의 문화계 인사들 목록이 정리된 일명 블랙리스트를 청와대에서 작성하고, 이를 문화체육관광부가 관리했다는 여러 증언과 자료, 고발이 있어 수사에 착수키로 했다”고 말했다.

검찰 손 안 댄 ‘반정부 9473명’ 명단
청와대서 작성, 문체부가 관리 의혹

이 사안은 현 정부에 비판적인 문화계 인사 9473명 이름이 적힌 문서가 지난 10월에 등장하면서 불거졌다. 100쪽 의 문서에는 문화·예술계 인사 중 ▶세월호 시행령 폐기 촉구 서명인 594명 ▶세월호 시국선언 참여자 754명 ▶문재인 대선후보 지지 선언자 6517명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 지지 선언자 1608명 등이 분류돼 적혀 있다. 명단에는 송강호·정우성·김혜수 등이 포함돼 있다. 문화계에서는 명단이 정부 관련 인선이나 지원 배제 등을 위해 작성됐다고 의심하고 있다.

실제로 권영빈 당시 한국문화예술위원장은 회의(2015년 5월 29일)에서 “우리가 위원을 선정해도 다시 판단하는 ‘리스트’가 있다”는 취지로 말했다. 또 “청와대 정무수석실 등에서 블랙리스트를 주도했다” “문체부 산하 예술정책과에서 이를 집중 관리했다” 등의 증언도 나오고 있다. 이런 의혹 등을 확인하기 위해 특검팀은 24일 구속된 김종(55) 전 문체부 2차관을 불러 조사한다.

야당 등으로부터 문건 작성 주도자로 지목된 조윤선 문체부 장관은 “아는 바 없다”고 주장했다. 해당 문건 작성 시기는 2014년 5월~2015년 1월이다. 당시 조 장관은 청와대 정무수석이었다. 이와 관련해 문화예술 관련 12개 시민단체는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 등을 직권남용 혐의로 지난 12일 특검에 고발했다.

현일훈·정진우 기자 hyun.ilho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