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5년 후인 2031년, ‘사망>출생’ 인구 감소 시대 온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전체 인구는 4302만 명. 1990년 수준으로 돌아갔다. 한국인 전부를 한 줄로 세웠을 때 정확히 가운데 서 있는 사람의 나이는 58.7세. 은퇴를 고민해야 할 나이의 사람이 한국에선 ‘허리 연령’이다. 거리를 돌아다니면 아이보다는 노인이 더 자주 눈에 띈다. 14세 이하 어린 아이 수(413만 명)보다 65세 이상 고령층(1827만 명)이 4배 이상 많기 때문이다. 한창 일할 나이의 사람(생산가능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할 사람 수는 108.7명에 달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독보적 1위다. 고령 대국 일본(97명)도 따라오지 못하는 숫자다.

‘노인의 나라’.

통계청이 8일 발표한 ‘장래인구추계 2015~2065년’에 담긴 50년 후 2065년 한국의 모습이다. 통계청 분석에 따르면 바로 15년 후인 2031년 한국의 인구는 5296만 명 정점을 찍고 이후 감소할 전망이다.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보다 많아지는 역전 현상 때문이다. 해가 갈수록 인구 감소에 가속도가 붙어 2050년 5000만 명 선이 깨지고 2065년엔 4302만 명으로 내려갈 것으로 통계청은 내다봤다.

통계청은 5년 주기로 향후 50년간의 인구 변화를 전망한 보고서를 내놓는다. 2011년 발표한 ‘장래인구추계 2010~2060년’에선 인구가 정점을 찍고 이후 감소하는 기준점을 2030년으로 봤다. 불과 1년 늦춰졌을 뿐이다. 그마저도 국내 외국인 유입, 인구 조사 방식 변화(등록센서스 전환) 덕분이다. 정부가 내놓은 각종 저출산 정책이 공회전했다는 의미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미래의 출산율, 기대수명 그리고 국제순이동(국내 인구 유입-유출) 수준을 추정해서 장래인구를 추계한다”며 “최근에 5년 동안 출산율이 예측했던 것보다 낮았기 때문에 6~21세 학령인구가 2011년 추정했던 것보다 더 급격하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고 말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15세부터 64세까지 생산가능인구는 이미 올해를 정점으로 꺾이기 시작했다. 2020년부터는 생산가능인구가 매년 34만 명씩, 2030년부터는 44만 명씩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속도라면 생산가능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할 14세 이하, 65세 이상 인구(총부양비)는 2065년 108.7명으로 치솟는다. 한창 경제활동을 할 나이의 사람 1명이 1명 넘는 아이와 노인을 부양해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지난해 기준 한국은 OECD 국가 가운데 총부양비로는 최저를 기록했다. 그러나 50년 후면 상황은 정반대로 바뀐다. 통계청과 유엔(UN) 전망에 따르면 2065년 한국은 일본(총부양비 97명)을 뛰어넘는 OECD 1위의 부양 부담을 져야 하는 국가가 된다.

세종=조현숙 기자 newea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